•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론장의 위기와 공영방송 TV 시사토론 프로그램 제작에서의 의례성 연구: MBC <100분 토론>을 중심으로 (A Study of Ritualised Mode of Production of Public Broadcasters’ TV Current Affairs Debate Programs : Focusing on MBC <100 Minute Debat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10
31P 미리보기
공론장의 위기와 공영방송 TV 시사토론 프로그램 제작에서의 의례성 연구: MBC &lt;100분 토론&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정보학보 / 127호 / 54 ~ 84페이지
    · 저자명 : 박성우

    초록

    토론은 합리적이며 민주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이다. TV의 시사토론프로그램은 진행자와 패널 출연진이등장하여 사회의 다양한 이슈와 시급하고 핵심적인 의제 등에 대하여 논리적이고 객관적 근거에 입각, 합리적으로 설득하고 논의하는 방식의 방송콘텐츠다. 갈수록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사회적 갈등 속에서서로를 이해하고 건전한 소통능력을 배양하여 민주적 의사과정과 절차를 존중하는 소양은 더 강조된다는 점에서, TV 시사토론프로그램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미디어 환경 변화와 함께 TV 시사토론 프로그램은 특히 공영방송을 중심으로, 시청률, 화제성은 물론, 공론장으로의 기능에까지 많은 면에서 점점 더 위축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우리의 TV 시사토론프로그램과 함께 한 고유한 제작양식을 미디어의례(media ritual)의 시선에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관련한 사회적 권위와 힘의 작동방식이라는 관점에서 어떻게 방송의 공론장적 특성이 급격히 변화되었는지, 공영방송의 대표적 프로그램과함께 살펴본다. 크게 세 가지 두드러진 의례적 작동방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생방송 시스템’ 과 ‘소수 전문가’에 의존하는, 특정한 방식의 ‘미디어 이벤트’였다는 점이다. 더욱이, 이 세 지점들은 각각 혹은 서로 모순적으로 결합하여 고유의 제작문화를 형성하고 공영방송 TV 시사토론 방송의 힘과 권위의 작용에 오랫동안 천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갈수록 위축되는 공론장의 위기를 넘어 바람직한 공론장으로서 공영방송 TV 시사토론프로그램의 역할과 함의를 재조명해 본다.

    영어초록

    TV current affairs discussion programs are broadcast contents that analyze, evaluate, and exchange opinions on various social issues and urgent and core agendas in our society. The role of TV current affairs programs as a public spher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now that reflection and action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resolve the increasingly intense conflicts of various types and contents in our society and to realize mutual understanding and social integration. However, Korean public broadcasting TV debate programs have been declining in many ways, including viewership, issue making, and their ability to serve as a public sphere. This article analyzes the unique media ritual production style of Korean TV debate programs and examines how the social authority and power that accompany them have been at work and how they have radically changed the nature of the public sphere, along with other representative public broadcasting programs. Through this examination, three distinct conditions and environments emerge. Their mode of production favored ‘live broadcasting’, relied on a ‘small number of experts’, and were predictable ‘media events’. Individually and together, these three phases combine into mutually contradictory conditions and environments, creating a unique production culture that has long been deeply connected to the power and authority of public television debate broadcasting.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offer reflections and suggestions on the dwindling role of Korean TV debate programs as a public sphere, and to revisit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public TV debate programs as a desirable public sphere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our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정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