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분권과 지방자치, 지방 균형에 대한 헌법적 쟁점의 검토 (Constituitional Review of Pending issue on Korean Local Self- Government and Decentralization Polic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04
31P 미리보기
지방분권과 지방자치, 지방 균형에 대한 헌법적 쟁점의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헌법연구 / 22권 / 1호 / 155 ~ 185페이지
    · 저자명 : 장용근

    초록

    지방분권과 지방자치, 지방 균형이라는 이념은 이제 우리의 중앙집권적 국가전략이 더 이상 효과를 발효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가의 존립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제는 중앙정부중심의 정책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작은 정부론과 사회 및 지방정부의 자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 현재의 흐름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보인다. 중앙정부는 지방분권 이양시 이러한 개혁에서 자율과 그에 따른 책임을 반드시 지어야 한다는 원칙에 근거하여야 할 것이다.
    즉 지방의 자율적 개혁을 유도하고 그로 인해서 중앙과 지방의 수평적 관계를 이루게 되고 국가는 이러한 과정에서 나오는 지역적 불균형을 해소하려는 방향으로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그러기 위해서 지방의 재정자립도를 달성하고 그로 인하여 과거에 비해 지방정부의 자기책임을 더 물을 수 있게 함으로써, 지방정부가 독자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익적 사업과 외자유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중앙정부중심의 지방분권화니 지방 균형정책은 오히려 지방을 중앙 정책의 피동적인 실험장으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그나마 정책이 성공한다면 좋을 일이지만 자칫 실패한다면 우리 행정의 문제점인 탁상공론이나 중앙 정부적인 정책수립에 의한 정책적 과오로 진정으로 이룩하고자 하는 지방분권대신에 중앙집권이라는 정반대의 결과를 도출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현재 헌법상의 지방자치는 제도라는 이름하에 너무 추상적으로 법조문을 중심으로 논의대신 우리 현실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헌법이 현실에 국가정책에 기여하는 사회를 꿈꾸며 이제는 단지 정책사항이라는 이름하에 헌법판단을 회피하는 소극적 헌법학은 지양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It is just that decentralization and local governance for election or a of a turnaround, as well as a temporary state of democracy, not in democracy countries are essential. Also Decentralization and local governance is a problem associated with efficiency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f that never the central government policy oriented to solve the basic direction is said may actually be a year. The central government has to transmigrate some part of their task which is local government can carry out, and instead of that, it seems reasonable to perform the legislature centered functions to supervisory or support for long-term. But the reform has to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y It seems that our government need to find a solution from not Korean Capital relocation policy but the decentralization policy which is a dividing force to succeed the reform and opening up of Chinese that inducing local decentralization to make a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erefore government should make a policy selectively according to a region to solve the problem of regional disparity. In order to do that, government should leave a priority on the policy that reform a policy of dividing a tax system, which is a foundation of a dividing force, considering success of the Chinese local autonomous economic reforms, to achieve a local financial independence. Consequently it could be better to ask a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induce local government to make an independent policy and actively to attract foreign capital with profitable business rather than just to give centra government financial help. The central government-led policy of relocation of capital or artificial policy can make a local government a passive testing ground of the central government-led policy. If the policy is unsuccessful, we should pay social costs which means political failure of central governmental policy making that is one of main problem of our armchair administration. Especially, present local self-government tends to be discussed abstractly under the name of system, and the success of the system could be imprinted as a failed trial without proper consideration. Now, it’s time to avoid passive constitutional judgement under the name of policies and I hope constitutional law study lead the government policy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