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변화를 중심으로 (The Politics of Identity of North Korean Refuge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05
37P 미리보기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변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방송학보 / 30권 / 3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오원환

    초록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에서 탈북여성의 재현이 탈북자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했다. 특히 종편에서의 ‘탈북미녀’라는 새로운 기표의 등장과 그 의미가 탈북청년과 남한청년에게 어떻게 차별적으로 수용되는지를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서 살펴봤다. 구체적으로 홀(Hall)의 정체성의 정치학적 논의를 활용하여 남북(南北), 그리고 남녀(男女)라는 서로 다른 해독의 위치에서 ‘탈북미녀’라는 기표가 기존의 ‘탈북자’ 정체성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일부 남한청년은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을 ‘남남북녀’ 속설과 연계해 ‘남과 북’의 경계를 ‘남성과 여성의 외모’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마르거나 초라한 모습’의 탈북자 이미지에 ‘자연스럽고 순수한 미모’가 가세하면서 탈북자 내부의 차이들을 주목했다. 그러나 ‘북한’으로 종결되는 ‘탈북미녀’의 증언이나 기억은 ‘탈북자’ 범주 안에서 개별적 의미들을 갖지 못함으로써 ‘탈북자’ 이미지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지 않았다. 한편 탈북청년들에게 ‘탈북미녀’의 등장은 출연자의 사적 이익을 위해서 ‘탈북자’의 부정적 의미를 강화시키는 계기로 인식됐다. 그래서 ‘탈북자’ 범주 바깥으로 ‘탈북미녀’를 밀어냄으로써 탈북자 내부의 차이를 인정하기보다는 ‘탈북미녀’를 타자화하면서 방송과 자본의 범주로 위치시키려고 했다. ‘탈북미녀’의 등장은 탈북청년에게는 탈북남성과 탈북여성 간의 잠재적 갈등 요소이다. 그리고 남한청년에게는 탈북남성과 탈북여성의 이미지 차이를 강화시키는 계기로 인식됐다. 그러나 남한청년에게 ‘탈북+미녀’라는 시니피앙은 그 자체로 모순된 개념들로 인식됐다. 이는 ‘미녀’들의 기억과 증언이 ‘북한’과 연계된 기억 속에서 ‘탈북’이 강조됨으로써 ‘탈북자’ 정체성으로 수렴되는 것으로 보였다. 이는 탈북청년이 ‘탈북미녀’를 ‘탈북자’ 범주 밖으로 타자화시키는 것과는 상반되는 양상이다. 끝으로 이 연구는 ‘탈북미녀’라는 시니피앙의 모순들이 해결되면, 탈북자 정체성의 다양한 요소들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기존에 부정적인 탈북자 정체성이 다소 느슨해지는 국면에 돌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d the identity poli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The concept of identity suggests an empirical basis in everyday lives explicating some significant forces surroundi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contributing to discover and interpret their conditions through cultural and self representation. They were placed as ‘the hostile and poor other inside nation’ in South Korea; they were interpellated as ‘others’ and were considered as strangers, poors and communists being constantly and symbolically discriminated in places they resid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beautiful North Korean women’s appearances of general service channels influences on the cultural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e focus-group interviews, which is given to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Some South Korean youths recognize ‘the beautiful North Korean women’connecting with the ‘Namnam Buknyeo’, which means in the South it is the men who are handsome and in the North is the women who are beautiful. They also mentioned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and men’s images on TV. For instance, North Korean women are naturally beautiful, while North Korean men are tough and warlike. Those differences are constructed culturally by mainly media representation. However, most of sad and inhuman stories and testimonie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on general service channels overwhelms the variety within North Korea defectors. Most of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ed in FGI recognize the appearance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on the general service channels very negatively. They think that her testimonies make worse the images of North Korean and their home country with old experiences and false witness. So they try to exclude her out of North Korean defector commun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rious thoughts about the appearing on the TV of beautiful North Korean defector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방송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