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차 북핵위기 당시 미국의 대북 핵정책 결정과정 분석: 관료정치 모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Process of Making U.S. Foreign Policy during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Focusing on the Bureaucratic Politics Model)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9.12
24P 미리보기
1차 북핵위기 당시 미국의 대북 핵정책 결정과정 분석: 관료정치 모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4권 / 4호 / 87 ~ 110페이지
    · 저자명 : 안문석

    초록

    1993-1994년 사이 1차 북핵위기 당시 미국은 대북 포용정책을 실행했지만 내부적으로는 강경파와 온건파의 심한 대립과 갈등의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쟁투와 타협의 과정, 즉 '밀고당기기(pulling and hauling)'를 통해서 미국의 대북정책이 결정된 것이다. 본 논문은 당시 미국 정부 내의 온건파와 강경파 사이의 관료정치 현상을 분석하고, IAEA의 특별사찰 문제와 원자로의 동결 및 해체, 사용후 연료봉의 처리 문제 등이 이들 사이의 갈등과 경쟁, 그리고 타협의 과정을 통해서 결정되었음을 보여준다. 1차 북핵위기의 해결과정에 대한 연구들은 그동안 다양한 시각에서 진행되었다. 핵확산방지조약(NPT)의 연장을 위한 미국의 대외정책 추진 방향에 따라 결정되었다는 관점, 미국 국내 선거 승리를 위한 차원에서 북핵문제를 해결했다는 분석, 주로 중국의 영향으로 문제해결이 가능했다는 주장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본 논문은 미국 정부 내 정책결정의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관찰을 통해 관료정치의 관점으로 1차 북핵위기의 해결 과정을 분석한다.
    2차 북핵위기가 계속되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도 미국 정부 내의 강경파와 온건파는, 기본적으로는 자신들과 자신들의 조직을 위해, 그리고 미국의 국익을 위해, 때로는 중국이나 한국, 일본의 기류를 반영하면서 북핵문제에 대한 나름의 대응책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한 미국 정부의 의사결정구조를 고려할 때 미국의 대북정책에 한국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연대(coalition)의 형성과 긴밀한 협의(consultation)가 가장 필요한 요소이다. 한국정부로서는 일관성을 가진 대북정책을 추진하면서 미국 정부 내 강·온파 가운데 필요한 세력과 연대를 형성하고, 창의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면서 대북정책에 대해 공동결정(co-determination)의 단계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were severe conflicts between hard-liners and moderates in the Clinton Administration during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1993-1994. U.S. foreign policy towards North Korea was made through struggles and compromise, namely, 'pulling and hauling.' This paper examines bureaucratic politics between hard-liners and soft-liners in the U.S. government and concludes that decisions related to IAEA special inspections, dismantling reactors and disposing spent fuel rods were made through conflicts, competition and compromise between them.
    Analysts looked into the process of making U.S. foreign policy during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various perspectives. Some concluded that the extension of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thers suggested that U.S. domestic politics functioned as the significant element in making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that China played a prominent role in influencing North Korea in terms of the nuclear issue. Unlike those analys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making U.S. foreign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bureaucratic politics.
    There still are conflicts and competition between hard-liners and moderates in the Washington government who argue for their own policies concerning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to increase their or their organizations' benefit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coalitions with hard-liners or soft-liners in Washington and consult closely to make its opinions reflected in U.S. policy towards North Korea. The Seoul government also needs to put forward creative policies on the basis of such coalitions to contribute to the dismantlemen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and to maintain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