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강한 병사(와 ‘위안부’) 만들기 — 주한미군 성병 통제의 역사, 1950-1977년 (Making Healthy Soldiers (and ‘Comfort Women’): A History of United States Forces Korea’s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Control, 1950-1977)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9.12
43P 미리보기
건강한 병사(와 ‘위안부’) 만들기 — 주한미군 성병 통제의 역사, 1950-1977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24호 / 265 ~ 307페이지
    · 저자명 : 박정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전쟁기부터 기지촌정화운동에 이르기까지 주한미군 성병 통제정책의 확립 과정을 분석한다. 한국전쟁기 미군은 한국 정부에 ‘위안소’ 설치를 요청했고, 성병 검진 프로그램을 입안했으며, ‘위안부’ 단속에 협력했다. 전후 ‘위안소’ 는 클럽과 바, 댄스홀로 변모했지만, ‘위안부’는 한국 정부의 법적 용어로서 유지되었다. 미군은 자국의 사법권 외부에 놓인 ‘위안부’를 직접 통제하는 대신, ‘위안부’의단속, 검진, 치료를 한국 정부에 위임하고 한국 정부를 감시하는 방안을 선택했다. 그럼에도 성병이 여전히 문제가 되자, 미군은 1960년대 초부터 직접 기지촌의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 정부에 요구 사항을 전달하기 시작했다. 한국 정부는 그에 대한응답으로 성병관리소를 설치하고 본격적으로 감염 ‘위안부’의 격리 수용 치료를 실시했다. ‘위안부’에 대한 미군의 통제는 1970년대 한국 정부와 함께 실시한 기지촌정화운동과 더불어 더욱 강화되었다. 미군은 전국 기지촌에 대한 현지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 정부가 더욱 강력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시행하도록 압박했고, ‘위안부’의육체뿐만 아니라 정신과 행동까지 통제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주한미군은 한국여성을 성병 전파의 가해자로, 자국 병사를 성병 감염의 피해자로 간주했다. 그결과, 미군은 ‘위안부’에게 수많은 의무와 규율, 처벌을 부과했으나, 자국 병사들의성행동은 거의 통제하지 않았다. 결국 ‘위안부’는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의 주권에도종속된 반면, 미군은 ‘위안부’에 대한 성적 접근을 일종의 권리로서 향유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historical processes by which United States Forces Korea (USFK) controlle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from the Korean War to the Camptown Clean-up Campaign.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the U.S. Military propos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 ‘comfort stations’ for the exclusive use of UN troops. It also designed STD control program and cracked down on ‘comfort women’ collaborating with the Korean government. After the Korean War, ‘comfort women’ as a legal category remained, while ‘comfort stations’ gave way to clubs, bars, and dance halls.
    USFK, wary of directly controlling ‘comfort women’ beyond its jurisdiction, chose to supervise the Korean government, delegating to it the responsibility to round up, examine, and treat them. From the 1960s, however, with high STD incidence among American servicemen, USFK started to directly investigate a few camptowns and offered policy recommendations to the Korean government. In response, the Korean government constructed STD Detention Centers and implemented quarantine and treatment of infected ‘comfort women’ in earnest. USFK’s control over ‘comfort women’ intensified with the Camptown Clean-up Campaign (1971-1977). Based on nationwide field research on camptowns, USFK effectively pressured the Korean government to enforce more rigorous and effective policies. Throughout the process, USFK considered ‘comfort women’ who transmitted STDs as criminal offenders and its soldiers as victims. Consequently, the USFK imposed on Korean prostitutes a wide variety of duties, discipline, and punishment—with few such controls on its servicemen’s sexual behaviors. To summarize, Korean ‘comfort women’ became subject to the sovereignties of both Korea and the U.S., while American servicemen enjoyed sexual access to ‘comfort women’ as part of their entitl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