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위기통제와 강압흥정: 2차 북핵실험 분석 (Crisis Control and Coercive Bargaining of Obama Administration towards North Korea : Analysis of North Korea’s 2nd nuclear test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03
39P 미리보기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위기통제와 강압흥정: 2차 북핵실험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 / 34권 / 1호 / 81 ~ 119페이지
    · 저자명 : 우정민

    초록

    본 논문은 위기관리의 핵심이 되는 위기통제와 강압흥정의 주요 요건을 통합적으로 상정하여 2차 핵실험 시기 오바마 행정부의 북핵 위기관리 행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기관리의 양축이 되는 핵심으로서 위기통제와 강압흥정은 목표 및 수단의 제한과 방법의 효율성을 중시한다. 미국의 정책적 유사성과 차이성에도 불구하고 오바마 행정부의 ‘북한의 정권변화를 통한 비핵화’라는 목표의 제한은 세계전략 상에서 일관된 핵확산 방지 원칙에 부합되기 때문에 정치적 요건에 부합된다. 연구결과, 위기통제 측면에서 미국의 정치·외교적 행동과 조율된 군사행동 및 협상의지와 일치된 외교·군사적 선택은 어디까지나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 행동보다는 제한적 무력시위 등 강압외교, 도발에 상응하는 군사적 압박을 통해 위기확대 방지, 사활적 국익인 확산방지와 연계해서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수단의 행태 측면에서 대화는 미국이 북한에 취한 실질적 강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된 외교적 방법이 되어왔는데, 이를 보완하고 실질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화채널 운용, 위기해결을 위한 요구조건 제시, 정치·외교적 제재 및 제한된 군사적 압박 등 방법이 병행적으로 추진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대국인 북한의 기본이익(체제보장)과 양립되는 미국의 퇴로조성 노력은 비핵화를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북한정권의 전향적 태도변화가 가능할 때 미국의 경제적 혜택과 협상 의지를 가능하게 만든다.
    한편, 강압흥정 측면에서 순응을 위한 긴박감 전달 및 압박점 확보, 응징위협의 신뢰성 및 확전우세에 있는 미국의 능력과 행동은 북한에 대해 절대 우위에 있지만, 한반도 안보환경의 구조적 제약 속에서 위기의 정도에 따라 탄력적인 군사력 운용을 통해 영향력이 행사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래서 미국의 ‘핵불용’과 북한의 ‘핵무장’ 동기가 강하게 충돌하여 지속될 경우, 미국은 회유(당근)보다는 강경(채찍) 중심의 정책으로 북한의 핵개발 진전을 차단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북한의 진정성 있는 비핵화 의지가 없는 한, 동기의 상대적 비대칭에 따른 미국의 대북 유인 레버리지(leverage)는 앞으로도 낮을 수밖에 없다.
    4차 핵실험 이후 위기관리 측면에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하려면 핵을 보유하는 것이 견딜 수 없이 고통스럽거나 북한정권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상황이 와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이 핵을 포기해도 생존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상황이 오거나,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온다면 연쇄적으로 인권, 개혁개방, 시장경제 등 미국이 불량국가에 요구하는 핵심가치를 수용하는 국면이 전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의 북핵 문제의 해결은 기본적으로 북한의 정권변화(regime transformation)와 별개로 논의되기 어려운 사안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United States crisis management behavior in response to North Korea’s 2nd nuclear tes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y and analyze Obama administration’s behavior towards North Korea through a main crisis management theory that deals with crisis control and assumes a coercive bargaining requirement.
    An integrated analysis of key crisis management theory shows that although Obama administration’s crisis control behavior during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es looks to reek of confusion on the surface, it was found that the driving force of behavior were clear principles (limitation of objectives and means in crisis) and consistent requirements (political and operational requirements). Regarding limitation of means, conversation has been a relatively limited tool compared to substantial pressures imposed by the United States towards North Korea, indicating the need for combined utilization of multiple means such as implementing various channels of conversation, proposing requirements for resolving crisis and executing both political and diplomatic sanctions along with limited military oppressions.
    In terms of operational requirement, military measure coordinated with political and diplomatic action of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diplomatic and military options synchronized with the will of negotiation, need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with coercive diplomacy through limited military demonstration, preventing escalation of crisis through proportionate military oppression against provocation and nonproliferation which is a critical national benefit, rather than direct military against North Korea. Regarding coercive bargaining, the United States is more likely to select a stick than a carrot in case there occurs a strong conflict between its disapproval of nuclear armament and the drive towards nuclear armament by North Korea. This means that unless North Korea shows veracity in their will of denuclearization, the leverage of incentive by the United States should stay relatively low due to the asymmetry of motivation.
    In terms of crisis management, in order for North Korea to abandon its nuclear activities, Since North Korea’s 4th nuclear tests, the situation will have to become a serious threat to the survival of the regime or unbearably painful to retain nuclear activities. Furthermore, if a situation in which North Korea must abandon its nuclear activities is realized, a development of situation in which North Korea must accept a cascade of core values such as human rights, reformation and opening up, market economy that the United States requires of rogue state. In this context, it is an issu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basically separate the United States towards North Korean nuclear issue resolution from North Korea’s regime trans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지역연구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