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해 EEZ 골재채취 해역의 부유사 발생 및 확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 Generation and Dispersion during Dredging Operation around the EEZ Sand Mining Zone in South Sea of Kore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11
13P 미리보기
남해 EEZ 골재채취 해역의 부유사 발생 및 확산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 24권 / 4호 / 223 ~ 235페이지
    · 저자명 : 방기영, 조창우, 정정민, 손규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해 EEZ 골재채취 해역의 부유사 발생 및 확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수행된 월류수 및 부유사추적 조사 결과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촬영된 위성영상 자료(GOCI)를 수집·분석하였다. 골재 채취시 표층으로 유출되는 월류수 부유사농도는 656-36,094 g/m3를 나타냈으며, 골재채취 작업강도가 증가할수록 부유사농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부유사추적 조사와 위성영상 자료(GOCI)를 통해서 분석된 부유사 확산 양상에 의하면, 연중 북동향하는 대마난류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부유사 풀룸이 북동향하였으며, 월류수 부유사에 의해서 골재채취 구역 인근 표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채취지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표·중·저층의 농도가 유사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대마난류의 영향이 약해지는 대조기 창조시에는 부유사 풀룸이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로 서향하였으며, 표층에서 고농도의 범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위성영상 자료(GOCI)의 중첩 결과에 의하면, 골재채취 중 부유사가 북동향으로 최대 약 58 km까지 확산되는 분포를 보였다. 골재채취 부유사 발생 및 확산 특성은 골재채취선 작업 조건과 대상해역의 흐름과 바람 조건에 의해서 좌우되므로 골재채취 중 발생되는 부유사에 의한 환경영향 최소화 측면에서 골재채취 작업강도의 완화와 적절 골재채취 시기 선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spended sediment (SS) generation and dispersion patterns dur-ing dredging operation around the EEZ sand mining zone in southern sea of Korea, the previous survey results about the overflow SS as well the SS tracking from 2013 to 2016, and the satellite ima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ncentration of SS flowing out to the sea surface during dredging was 656-36,094 mg/L, and this concentration increased as the dredging capacity increased. According to the spreading pattern of SS by SS tracking survey results and satellite image data (GOCI), most of SS plumes headed northeast in the direction of ebb due to the influence of Tsushima Warm Current (TWC).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the surface layer near the dredging vessels due to the out flow-ing of SS to the sea surface, and far away from the dredging area, the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mid-dle, and low layers became similar. When the influence of TWC was weakened during flood at spring tide, SS plumes headed west following the direction of flood, and the high concentration range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results of satellite image data (GOCI), SS spreaded up to 58 km northeast during the dredging process.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S generation and dispersion patterns depend on the dredging condition, as well as the specific ocean current and wind circumstances in the area,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dredging,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itigation of dredging capacity and appropriate operation tim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