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 부적응 초등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Exploration of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tudents’ Art Therapy Experien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0.06
28P 미리보기
학교 부적응 초등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 / 16권 / 2호 / 245 ~ 272페이지
    · 저자명 : 유고운, 공마리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부적응 초등학생의 미술치료 과정에서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A시 G연구소에 어머니의 의뢰로 내방한 12세 초등학교 여학생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한 방법으로 Clandinin과 Connelly (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2019년 11월 27일 사전 면담을 시작으로 2020년 2월 8일까지 주 1회, 회기당 90분씩, 총 11회기 동안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경험은 ‘답답한 마음을 표현할 수 있었어요’, ‘나를 알아보고 싶어요’, ‘변화를 연습했어요’, ‘미술치료 시간은 상처를 치유하는 시간이었어요’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 부적응 초등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나를 수용하다’, ‘세상으로의 첫걸음을 떼다’, ‘세상 속으로 들어가다’의 총 세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 초등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으로 학교 부적응 초등학생에 대한 관심과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알리고 그들의 삶과 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임상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tudents’ experience in the art therapy process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s.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12-year-old elementary school girl who visited the G Research Center in A City at the request of their mother. This study used the narrative exploration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and beginning with the preliminary interview on November 27, 2019, art therap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1 sessions, on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until February 8, 2020. The experience of the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drawn in the course of this study consisted of 'I was able to express my frustrated heart,' 'I want to find myself,' 'I practiced my changes,' and 'Art therapy was a time to heal wounds.'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e meaning of art therapy experiences of the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was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in total: 'accept me,' 'take a first step into the world,' and 'enter the worl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clinical data to inform the interest in the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necessity of related research and to understand their lives and experiences with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of the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심리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