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 (The Foreign Policy of the Reagan Administration and the End of the Cold Wa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11
32P 미리보기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사연구 / 48권 / 249 ~ 280페이지
    · 저자명 : 김봉중

    초록

    본 연구는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의 상관관계를 추적한다. 여기서는 ‘선(先) 소련의 변화, 후(後) 미국의 대응’이나 ‘선(先) 미국의 정책, 후(後) 소련의 변화’와 같이 냉전의 종식을 설명하는 구도 중에서 어떤 것이 더 타당한 지를 따지는 해묵은 논쟁을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대소 강경책으로 일관했던 초기 레이건 행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소련에 대한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의 본질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냉전의 종식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다.
    흔히, 레이건의 외교정책은 ‘힘’에 근거한 철저한 반공주의로 소련과 그의 영향권에 속한 정권에 대한 강력한 압박으로 설명되었는데, 그것은 소련을 염두에 둔 실질적인 정책이기보다는 미국인들을 겨냥한 수사적인 움직임이었고, 미소 정상회담을 포함한 협상에서 별다른 영향력을 끼치지 못했다. ‘악마의 제국’과 ‘별들의 전쟁’, 그리고 ‘레이건 독트린’으로 대표하는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은 적어도 대소 협상에 있어서 면밀하고 일관적이며 체계적으로 집행되지 않았다. 레이건의 ‘힘의 외교’가 냉전의 종식을 가져오지 않았다면, 향후 연구에서 미국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을 푸는 복잡한 방정식에서 다른 어떤 변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인권외교이다. 흔히, 인권외교는 카터 외교의 대명사로 받아들여졌고, 그것이 실패했다는 전제하에서 레이건 외교가 조명되었다. 그런데 몇 차례의 레이건-고르바초프의 회담이 진행되면서 인권문제는 핵동결과 전략무기 감축 못지않게 비중이 커졌으며, 레이건-고르바초프의 마지막 회담인 모스크바 회담에서는 인권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aces the foreign policy of the Reagan administr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end of the Cold War. It avoids the old and popular formula of explaining the end of the Cold War - ‘changes in the Soviet Union first, then US responses’ or ‘US policies first, then the changes in the Soviets’. Rather, it focuses on the changes of Reagan administration’ diplomacy toward the Soviet Union, well known for its ’get touch’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By doing so, it would reevaluate the nature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Reagan administration and get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nd of the Cold War.
    Reagan’s strong anti-Communist diplomacy has been stressed in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and the nations under its influence. However, the US policy had little impact on the course of negotiation and the summits between Reagan and Gorbachev; it served as more of a rhetorical gesture toward the American public than a realistic strategy toward the Soviets. As far as Reagan’s foreign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is concerned, which has been symbolized with such terms as ‘Evil Empire,’ ‘Star Wars,’ and ‘Reagan Doctrine,’ it was hardly executed in thorough, consistent, or systematic way. If Reagan’s ‘power diplomacy’ has limitations to explain the complicating issue of the end of the Cold War, one has to look into some other factors in the future. One of them is human rights, which had long been ignored in the debate over the end of the Cold War. Carter’s human rights policy has long been judged as failure, and thus treated as a background of the Reagan’s new diplomacy. However, human rights issues had gradually gotten as mush attention as the nuclear and other strategic missile issues during the summits between Reagan and Gorbachev. Reagan treated human rights as the most important agenda in the Moscow Summit, the last summit between the two lea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