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군위안부소송의 미국재판관할 (Trial Jurisdiction of USA of Comfort Women's Compensation Clai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4.12
24P 미리보기
일본군위안부소송의 미국재판관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9권 / 4호 / 185 ~ 208페이지
    · 저자명 : 이승우

    초록

    일본군위안부는 위안소 등에서 성노역이 강요되었던 여성들이다. 최근 이들은 꾸준히 일본정부의 공식사과와 배상, 명예회복을 요구하고 있으나, 일본은 일본군위안부프로그램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과거청산과 관련하여 이미 지난날에 이행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전승국인 미국 또한 이 문제에 대하여 미온적으로 전쟁당사국간에 체결된 협정에 따라 적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일본군위안부들은 외국주권면제법(the Foreign Sovereign Immunities Act)의 예외와 외국인불법행위법(the Alien Tort Claims Act)의 연계로 인권위반을 들어 미국법정에서 소송을 할 수 있다. 비록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이 미국국민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이미 70년 전에 발생한 잔혹한 전쟁범죄에 대하여 미국의 동맹국을 상대로 소송할 수 있다. 외국문제에 대한 미국재판관할권의 확대는 국제적으로 비난을 받을 수 있으며 미국을 심지어 세계의 약자를 괴롭히는 악동으로 의심받게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홀로코스트에 관하여 알지만 일본의 잔인한 전쟁범죄에 대해서는 망각하고 있다. 나치의 범죄는 서구의 집단기억 속에 깊이 뿌리박혀 있지만 일본과의 전쟁은 잊혀진 채 어둠의 장막 속에 있다. 홀로코스트 피해자들은 미국이 주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선거권을 행사하면서 나치시대의 이해에 깊이 기여하였다. 반면에 일본군위안부는 외국인으로 그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선거권이 없었다.
    일본이 전후 놀라운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계를 선도할 선진국으로 인류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면 지난날 암울했던 과거를 청산하는 적극적인 의지와 더불어 전쟁피해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최근의 소송은 거기에 여전히 어두운 시대의 일본의 무능력에 불행한 세계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제 여생이 얼마남지 않은 일본군위안부들이 가치를 두고 있는 정의를 성취하게 하는 것은 일본의 미래를 볼 때 큰 이익이 될 것이다. 한편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각국의 정부는 일본이 그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게 설득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se arguments include the theories that only state-to-state claims were settled and that only economic interests were concerned, not individual claims. Additionally, some supporters have argued that the "comfort women" issue was either unknown at the time or not talked about. This Note begins by recounting the historical and legal background against which this suit has been brought. Section II begins with a brief history of the events surrounding the institution of the "comfort women" program and introduces the treaties applicable at the time. The section then examines and dismisses the possibility that Japan's postwar treaties lacked finality,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federal district court decision in In re World War II Era Japanese Forced Labor Litigation. This part concludes with a narration of the frustration former "comfort women" have experienced in getting their claims successfully adjudicated in Japan. Because the "comfort women" have adopted the litigation strategy successfully employed in U.S. courts by victims of the Nazi Holocaust, Part II examines the historical and legal background against which Germany settled those claims. The section then presents the seemingly contrary approach the United States has taken with respect to Japanese compensation claims. Part III examines applicable american domestic law. While the Alien Tort Claims Act has been successfully, if only symbolically, utilized to achieve judgments against foreign actors for violations of international law, judicial interpretation of the Foreign Sovereign Immunities Act presents a formidable challenge to plaintiffs like the "comfort women" who seek judgment against a foreign government. The section concludes by presenting the legal claims advanced in the Complaint, the Motion for Declaratory Judgment, and oral argument. Japan's Motion to Dismiss was granted; Part II presents the court's decision in Hwang v. Japan and analyzes the "comfort women's" defeat. The section then presents important arguments disfavoring an expansive judicial role in conducting foreign affairs. Such an extension of U.S. judicial power into the realm of foreign affairs would be undesirable and counterproductive. Japan, however, simply must address the plaintiffs concerns if it hopes to remain a leader in Asia. Recent events demonstrate that there are still a large number of people throughout the world who are unhappy with Japan's inability to address a dark past. It is in Japan's long-term interest that the "comfort women" achieve the justice they deserve. To this end, the Executive branch should begin to persuade Japan to reexamine its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