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隱峰 李鳳徵의 文學觀 考察 (A Research on Eunbong Lee Bong-jing’s Literary Perspecti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9.09
29P 미리보기
隱峰 李鳳徵의 文學觀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48호 / 67 ~ 95페이지
    · 저자명 : 柳在華

    초록

    본고는 李鳳徵(1640~1705)의 문학관을 살피면서 근기남인 문학사의 일맥을 살펴볼 뿐만이 아니라, 眉叟 許穆(1595~1682)에 의해 주도된 고문운동을 엿볼 수 있는 단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은봉은 당시 명문가인 延安李氏 중 淸南 계열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9세에 부친 이한을 여읨으로, 淸의 인질로 잡혀가는 昭顯世子를 수행하였던 4숙 李襘에게 의탁하고 훈육을 받으면서 성장하였다. 이로 인해 그의 학업은 13세 때가 되어서야 전등신화를 많이 읽고 과거에 급제한 仲父 李袗으로부터 처음 글을 배우게 된다. 당시 은봉은 古書를 위주로 독서하였다. 16세부터 과거에 급제할 때까지 은봉에게 여행을 많이 할 것을 권장한 從兄 李觀徵으로부터 家學으로 詩文을 배웠다. 가문 밖의 스승으로는 종고모부 南坡 洪宇遠과 실학의 선구자이자 육경복고를 주장한 미수 허목을 종유하였다. 특히, 미수는 그의 학문적 사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은봉은 미수 死後, 숙종에게 미수의 유고를 왕찬사업으로 문집을 간행할 것을 건의하고, 그의 주관 하에 ≪記言≫을 완성하게 되는데 이 문집은 근기남인학파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뿐만이 아니라 은봉은 미수가 수용한 ‘文은 貫道之器’라는 문학론을 계승하여 나의 본성을 다하면서[盡吾之性] ‘道理’가 있는, 즉 ‘貫道通理’의 文을 지을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그 중 ≪육경≫과 程・朱書 등 전범에 관련한 문제와 道文에 대한 인식문제가 주목된다.
    ≪육경≫과 정・주서 등 전범에 관련한 문제에서 미수는 ‘理勝之文’을 ≪육경≫에서 구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은봉은 ≪육경≫뿐만 아니라 程・朱書에서도 구할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은봉은 ≪육경≫의 효용성에도 주목하였다.
    道와 文에 대한 문제에서는 當時가 문과 도의 관계를 ‘由文入道’로 인식하여 종속으로 보는 ‘載道論’이 대세였으나, 은봉은 ‘載道論’이 문과 도의 輕重과 本末의 문제를 露呈하였음을 비판하고, 평등의 관계로 인식할 것을 주장하면서 ‘道文幷重’과 ‘道文一致’를 주장하였다. 동시에 古文에도 ‘道理’가 있다고 하였다.
    결국 은봉의 이와 같은 문학관 형성은 그의 가문 및 근기남인의 박학적인 학풍과 실학자이자 육경복고를 주장한 미수의 학문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By examining the literary perspective of Lee Bongjing 1640~1705), this research aims to not only examine the literary history of Geungi Namin faction but also to understand an aspect of Ancient Chinese Movement led by Misoo Heomok (1595~1682). Eunbong was born into a prominent family of Cheongnam affiliation within Yeonan Lees. Eunbong lost his father Lee Han when he was nine years old, so he was left with his uncle Goi Lee who was attending Prince Sohyeon, being taken as a hostage of Cheong dyansty. He first started learning when he was 13 years old by reading the myth of Jeondeung and by learning from another uncle of his Lee Jin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t that time, Eunbong mainly read ancient literature. From when he was 16 years old to the point when he passed the state exam, he learned family literature and poetry and prose from his cousin Lee Gwanjing who recommended Eunbong to travel as much as possible. Outside of his family, Eunbong learned from his uncle Nampa Hong Woowon, and Misoo Heomok who asserted the necessity to return to the Six Classics. In particular, Eunbong’s stud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Misoo. Therefore, after Misoo’s death, Eunbong recommended to publish Misoo’s works as the King’s publication project, and he led the completion of ≪Gieon≫. This collection of works greatly influenced the creation of Geungi Namin faction. Not only that, Eunbong succeeded Misoo’s idea of “‘Literature is the means to reach enlightenment (文 is 貫道之器)” by arguing that literature should be created by fulfilling one’s duties. That is, he argued to follow the idea of Gwando Tongri.
    In particular, the issues about Jeongbeom such as ≪Six Classics≫ and Jeongjooseo as well as his recognition towards Domun (道文) are representative.
    Regarding the issues about Jeongbeom such as ≪Six Classics≫ and Jeongjooseo, Misoo argued to seek for Iseung-jimun (理勝之文) in ≪Six Classics≫ whereas Eunbong argued to include not only ≪Six Classics≫ but also Jeong (程)・Juseo (朱書). At the same time, Eunbong focused on the efficacy of ≪Six Classics≫.
    In terms of the issues about Domun (道文), the prevailing view was “Jaedoron (載道論)” which recogn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ense of duty as “Yoomun Ibdo (由文入道)”. However, Eunbong criticized Jaedoron (載道論) that it falsely covered the issue of importance and cause and effect (輕重 and 本末) demonstrated by literature and sense of duty. Eunbong argued that literature and sense of duty should be equally important, by stating the concept of “Domun Byeongjung (道文幷重)” and “Domun Ilchi (道文一致)”. Also, he mentioned that the ancient literature had the principle of duty.
    Eventually, Eunbong’s literary perspective was greatly influenced by his family, erudite academic tradition of Geungi Namin faction as well as by Misoo, who was a Sillhak scholar and asserted the necessity to return to the Six Class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