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미디어의 실패요인:스팀잇의 보팅봇 사례를 중심으로 (Success and Failure of Blockchain’s Token Economy: A Case of Steemi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1.08
24P 미리보기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미디어의 실패요인:스팀잇의 보팅봇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보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보사회와 미디어 / 22권 / 2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조재우

    초록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인 스팀잇은 쉽고 접근성이 높은 토큰 이코노미를 토대로 대중에게 빠르게 확산되었다. 모든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블록체인 토큰으로 보상을 주는 스팀잇의 Proof of Brain이라는 독특한 토큰 이코노미는 스팀잇의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암호화폐 시장의 침체와 함께 그 한계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스팀잇의 토큰 이코노미 실패 요인으로 논란이 되어온 셀프보팅, 보팅풀, 보팅봇 등의 문제를 살펴보고 그 중 가장 대표적이면서도 명확하게 드러나는 보팅봇에 초점을 맞추어 그 활동이 스팀잇 토큰 이코노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스팀잇 블록체인 데이터와 시장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스팀잇의 전체 큐레이션 보상에서 보팅봇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할 때 시장에서의 스팀 가격 경쟁력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시장에서 형성된 가치보다 훨씬 낮은 비용을 들여 토큰보상을 받는 것이 토큰 이코노미 성장을 저해한다는 본 연구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영어초록

    Blockchain technology has been experiencing dramatic changes since the begin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nsensus algorithm, blockchain expanded its boundary from Proof of Work(PoW), to other various algorithms such as Proof of Stake(PoS), Delegated Proof of Stake(DPoS), and Byzantium Fault Tolerance(BFT) (Mingxiao et al., 2017; Lim et al., 2018). Regarding use cases, blockchain started from simple peer-to-peer electronic cash, but has added revolutionary features, for example, smart contracts, token economy, stable coins, initial coin offering, security token offering, and so on.
    Amid those various of changes, a notable one is an emergence of Steemit, which is blockchain-based social media service that distributes rewards to contents creators on the platform. The two importance aspects of Steemit are: (1) Steemit gives rewards based on human’s creative activities, the so-called Proof of Brain(PoB) compared to precedent blockchain that employs reward distribution rules based on computing power(PoW) or capital(PoS); (2) Steemit provides token economy to laypeople with incentives and accessibility.
    With the bear market of cryptocurrency in 2018, however, Steemit is losing its attractiveness and vitality. Some critics regard Steemit’s token economy as a failure of experiment. But to my best knowledge, there is no in-depth study on the Steemit’s problem,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oken economy. In this vei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ore principle of token economy and the condition of its success and failure. Further,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is on the Steemit’s cases that are regarded to cause detrimental effects on the token economy system.
    Token economy in blockchain have several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 a token economy system’s total value is a sum of the token’s value. Therefore, all token holders share value changes in accordance with token economy ecosystem’s growth and shrinking. Second, mining new tokens for distributing rewards dilutes existing token’s value. Third, shareholders or users of token economy invest tangible or intangible values in order to obtain token rewards. Conceptually, this investment is transfer of value from the economic system outside of token economy system into the token economy system. In sum, the condition for token economy’s growth is as below: If costs of creation for a unit of token is significantly below than the token’s market price, participants who are rewarded in tokens will sell them for immediate gains b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sts and the market price. Consequently, this will lead decreases of token economy’s total value and harms token stakeholders.
    In Steemit, there are some contentious activities that can create Steem tokens with lower costs. For instance, self-voting is an intentional activity that an author votes for his/her own posts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contents and earns overvalued reward. This action can be committed in a group, the so-called “circle-jerking”. A group of authors who own lots of voting power write posts daily and vote only for themselves for earning much more rewards than the efforts for contents creation. Moreover, vote buying (or voting-bot) services sells voting, that is anyone who send Steem tokens to voting-bots can earn rewards by voting bots. These activities effectively reduce curation costs nearly to zero.
    The figure below presents the effect of voting bot in Steem’s curation system. Since June 2017, the effect has increased to 25% in August 2018. This means that one fourth of all rewards are determined by voting bot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oken economy growth, this is undesirable because low curation costs of voting bot will decrease costs of Steem token minting.
    This study’s empirical analysis estimates voting bot’s effect on relative competitiveness of Steem token in the market. Specific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below equation is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d share of voting bot’s effect in Steemit’s curation system is harmful to Steem token’s market growth compared to other cryptocurrencies. As expected, it is observed that earned rewards by voting bots are more likely to sold and hence add more pressure to downwards on Steem price, specificically 1% increase of VotingBotShare leads 5.98% decrease of Steem price in the market. Moreover, low quality posts on Steemit’s front page due to their high rewards thanks to voting bots can give negative impressions to readers and investors and disappoint other contents creators investing much energy in their posts.
    To turn failure into success in the future, Steemit has to build better reward system that sophisticatedly evaluates contents and fairly distributes rewards based on the quality of contents. Hence, Steemit’s token economy system ought to attract more values from the outside of the token economy system and increase costs for minting the tokens.
    There are many kinds of token economy and each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But it is commonly required that a token economy system precisely estimates invested values for rewards, then provides corresponding amount of rewards. Moreover, token economy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increase invested values as the system gro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