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 기술 신화로서 의인화 비판: 챗봇 ‘이루다’ 사례 연구 (Questioning Anthropomorphism as an AI Techno-myth: A Case Study of the chatbot 'Iruda')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3.12
49P 미리보기
인공지능 기술 신화로서 의인화 비판: 챗봇 ‘이루다’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 이론 / 19권 / 4호 / 109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현준, 이광석

    초록

    이 글은 인공지능(AI) 의인화가 오늘날 인공지능 기술신화의 강력한 구성 요소이자 기제라고 보고, 기술신화의 생성과 재생산 방식을 드러내는 사례로서 ‘챗봇 이루다’ 사태를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 글은 이루다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에 팽배한 인공지능에 대한 의인화 담론이 대체로 그것의 기술공학과 기술문화의 이중적 측면을 분리시킴으로써 AI의 기술중립론과 기술물신을 재생산하고 강화하는 경향이 있음을 살핀다. 다만 AI 의인화는 단지 개발사나 특정 행위자의 전략적 의도만으로 환원될 수 없고, 기술을 둘러싼 논쟁 과정 속에서 여러 행위자(소)들이 상호 얽힌 사회적 구성의 효과임을 살핀다. 오늘날 지능 정보화 기술의 논리는 ‘인간다운 인공지능’ 신화와의 관계 속에서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인공 사물의 외양을 띠게 됐다. 구체적으로, 이루다 챗봇 기술은 AI 기술 자체, 개발사, 정부 규제기관, 사회(익명의 이용자)의 하이브리드(혼종) 네트워크에 의해 공동 구성됨에도 불구하고, ‘인간다운 인공지능’(의인화) 논리에 의해 그 관계적 측면이 은폐됨으로써 역설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신화를 완성하거나 확대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이 글은 인공지능이 지닌 사회적으로 다층적 관계의 문제 지점이 좁은 의미의 기술 결함과 그것의 해소 문제로 축소되는 현실을 기술신화로 독해해내고 이 수사학을 비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이루다’ 사건에서 기술결정론을 강화하기 위해 동원되었던 인공지능의 의인화 과정, 즉 페르소나(1차 의인화), 성적 대상화(2차 의인화), 어린아이론(3차 의인화)를 거쳐, 최종적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이루다 사건 정책 개입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의인화 과정을 심층 분석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s AI anthropomorphism as a powerful component and mechanism of today’s AI technomyth.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chatbot Iruda as a case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at reveals the ways in which this technological myth has been creat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Iruda case, this study observes that the anthropomorphism of AI tends to reproduce and reinforce the techno-neutralism and tech-fetishism of AI by separating the dual aspects of its technolog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ical culture. However, the anthropomorphisation of AI cannot be reduced to the strategic intentions of developers or specific actors, but, is a network effect that involves multiple actors (or actants) within the social debate.
    Today, the logic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has taken on the appearance of independent and autonomous artificial objects in close relation to the myth of ‘human-like AI’. Specifically, the chatbot technology used in Iruda, despite being co-constituted by a hybrid network of AI, the technology itself, developers, government regulators, and society (anonymous AI users), paradoxically contributes to the techno-myth of AI sublime by concealing its relational aspects through the logic of “human-like AI” (anthropomorphism). This study intends to refute the replacement in which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socially multilayered entanglement of AI is reduced to the problem of solving technological defects or flaws in a narrow sense. For doing that, this study critically explores the anthropomorphic processes of AI that are mobilized to reinforce technological determinism: persona (the first anthropomorphism), sexual objectification (the second anthropomorphism), childlike-ness (the third anthropomorphism), and finall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er’s policy intervention into the case of Iru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