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랍의 봄’ 전후의 정치와 젠더화 - 이집트를 중심으로- (Politics and Gendering before and after ‘Arab Spring’ in Egyp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6.06
32P 미리보기
‘아랍의 봄’ 전후의 정치와 젠더화 - 이집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동연구 / 35권 / 1호 / 41 ~ 72페이지
    · 저자명 : 조희선

    초록

    여성들이 적극 참여하였던 이집트의 ‘아랍의 봄’은 여성들에게는 ‘아랍의 겨울’, 혹은 모래바람이 불어 닥치는 ‘캄신의 봄’이 되었다. 전 정권에의해 주도된 국가페미니즘은 혁명 이후에 오히려 여성에게 독으로 작용하였다. 혁명 이후 전환기에서 전 체제를 부인하는 것은 전 체제가 강화시킨 여성의 지위를 원상 복귀시키는 것과 동급이 되었다. 근본적으로 남성성이 강한 민족주의 혁명 이후 여성들은 공적영역에서 다시 한 번 소외되었다. 또한 이슬람정당의 집권 이후 진정한 의미의 민주주의 개념과는다른 이슬람적 이데올로기가 작동되면서 이집트에는 결국 ‘민주주의의역설’ 혹은 ‘젠더에 기반을 둔 반쪽짜리 민주주의’가 등장하였다. 젠더와관련된 확고한 이데올로기를 가진 이슬람정당은 어쩌면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없는 태생적 한계가 있는지도 모른다.
    ‘아랍의 봄’이라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바 있는 이집트 여성들은 더이상 이등시민의 지위를 용납할 수 없을 것이다. ‘아랍의 봄’을 통해 이집트 국민들이 ‘자유, 민주주의, 인권, 존엄성’을 요구하였듯이 이집트 여성들 또한 삶의 전 영역에서의 평등과 존엄, 특히 공적영역에서의 권리를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모든 민족주의 혁명 뒤에 반드시 여성의 권리 및 평등이 실현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젠더화된이집트에서의 반쪽짜리 민주주의는 곧 저항에 부딪혀 구세력에게 다시정권을 양보하는 반혁명적 결과를 가져왔다.
    혁명 이후 이집트 국회에서 여성국회의원이 고작 2%에 불과한 데 비해 2013년 튀니지 국회에서 여성의원이 27%를 차지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유엔은 정책결정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기준으로 여성이 국회에서 30% 이상의 의석을 차지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여타 MENA 국가들에 비해 여성의 국회대표권이 잘 보장되고 있는 튀니지가 ‘아랍의 봄’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고, 젠더화된 이데올로기를 정착시키고자 했던 전환기 이집트 정권이 혁명 이전의 상황으로 되돌아간 것은 우연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MENA지역에서 여성들이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에서 오랜 기간 소외된것은 민주화의 제3의 물결이 이 지역을 비켜간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였다. 따라서 여성의 정치적 권리와 참여는 이 지역의 민주화 과정에 박차를 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집트 여성들은 민주화 운동의 참여를 통해 이미 민주주의와평등에 대한 인식과 열망을 가지게 되었다. 더 이상 위로부터 선물로 주어지는 여성의 권리와 평등이 아닌 여성 스스로의 투쟁을 통해 이러한 권리와 평등을 얻어낼 때 비로소 젠더화되지 않은, 반쪽짜리가 아닌, 완전한 형태의 민주주의가 이집트에서도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most countries, including Egypt, where ‘Arab Spring’ has overtaken, strong doubt have been expressed as to achievements of Democratization Revolution; except Tunisia, which succeeded in democratization to some degree. However, there is no objection to consider ‘Arab Spring’ in Egypt as a revolution, because the authoritarian dictatorship government has collapsed by the power of the people. Even though Egypt achieved remarkable democratization through a people's revolution of all classes, religions and sexes, it turned out to be the revival of former regime.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strange counter-revolutionary settlement in Egypt is closely connected with gender issues.
    It is not the first time that women fought for national cause in time of national crisis, together with men, crossing gender line. The appearance of Egyptian women in fierce demonstration site or overnight sit-in site was impressive enough to change the old image of Arab women. After nationalist revolution, however, Egyptian women were excluded, marginalized, and were coerced to remain in more gendered social space, while suffering jeer, insult, sexual harassment, sexual violence, and rape in public sphere. Especially with the accession to power of conservative Islamic party after revolution, ‘Arab Spring’ left severe counter-revolutionary effect for women, to such an extent as some people say ‘Arab Winter’.
    A study on politics and gendering in Egypt before and after ‘Arab Spring’ have importance in respect of weighing up the possibility of true democratization in Egypt, because women and gender are regarded as core elements in processes of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This article can also demonstrate the reason why conservative Islamic party’s rule ended in failure is bound up with gendering. As the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 began in 2004 in Egypt, bearing fruit named ‘Arab Spring’ in 2011, and Egyptian Islamic government came to an end in 2013, the temporal range of this article will be limited to 2004-201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