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명의 외연(外延)화와 지배의 정당성: 후쿠자와 유키치(福沢諭吉)를 중심으로 (The Extension of Civilization and the Justification of Dominati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1.09
18P 미리보기
문명의 외연(外延)화와 지배의 정당성: 후쿠자와 유키치(福沢諭吉)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6권 / 3호 / 69 ~ 86페이지
    · 저자명 : 송석원

    초록

    메이지(明治)유신 이후, 부국강병의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해온 일본은 그 당연한 귀결로서 서구적 근대화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일본사회를 빠르게 문명화과정에 진입하게 하였으며, 급기야 문명을 척도로 한 국가와 개인의 구분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원래 일본사회 내부에서 일반인들을 구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서양 문명의 가치를 이해시킬 목적으로 전개된 계몽은 일본의 대외정책에서 주변국을 인식하는 렌즈로 변화해갔다.
    문명의 진척 정도에 따른 개인이나 국가의 서열 구분은 후쿠자와 유키치(福沢諭吉)를 비롯하여 다수의 지식인, 정치인들의 언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식 틀로서 곧바로 인간과 세계를 인식하는 시대적 사조가 되었다. 문명은 인간생활이 지향해야 할 목표로 여겨졌고, 이를 위해서는 구습으로 치부되는 것들과의 단절이 강조되었다. 일본사회 전반으로의 문명의 침투는 일본 외부로의 문명의 전파로 이어졌는데, 후자의 경우 제국주의적 폭력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전근대 전통시대에 일본은 중국문명의 주변에 속하였지만, 메이지 이후의 일본은 동아시아 3국 가운데 가장 먼저 근대화에 성공한 것을 계기로 동아시아에 서양문명을 이식하는 사명을 스스로에게 부여하였다. 대만과 조선의 식민지화는 곧 일본이 앞장서 선취한 ‘문명의 외연(外延)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후쿠자와 유키치를 중심으로 조선에 대한 일본 지배가 문명의 외연화 과정의 필연적 귀결이라는 논리로 정당화되어간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Meiji Restoration, Japan consistently pursued a policy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and as a result, they fully accepted a Western-style modernization. And, these series of processes rapidly brought Japanese society into a civilization stage which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state and citizen by the measure of civilization. Initially, the spread of enlightenment within the Japanese community was to let the general public do away from with old customs and understand the value of Western civilization, and it had been transformed into a lens to recognize of neighboring countries interm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The distinction between order of state and citizen by the progressing measure of civilization became a trend of thought in a period of time by thinkers like Fukuzawa Yukichi. The Civilization considered a goal that human beings should pursue and for that, more emphasis was put onto the severance of the so-called old customs. The overall penetration of civilization in Japanese society continued to spread civilization outside Japan and th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Imperial violation.
    Japan in a pre-modern traditional period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civilization, but the achievement of modernization as the first one among three East Asian countries served as a momentum to give a self-authority to transplant Western modernization in East Asia. The Colonization of Korea and Taiwan could be considered as a process of an ‘Extension of Civilization’ which Japan preoccupied.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logic spread over by Japanese thinkers like Fukuzawa Yukichi that a justification of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and Taiwan, which they argued it is a natural outcome of an ‘Extension of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