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뮤지컬 캣츠 사건을 통해 본 제호의 법적 보호 (The Legal Protection of Titles in Musical “CATS” ca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5.05
27P 미리보기
뮤지컬 캣츠 사건을 통해 본 제호의 법적 보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8권 / 2호 / 205 ~ 231페이지
    · 저자명 : 박현경

    초록

    2015.1. 뮤지컬 캣츠사건에 대한 대법원판결이 나왔다. 피고 어린이 뮤지컬 캣츠의 표지 이용은영업주체의 혼동을 초래하는 부정경쟁행위로서 원고 캣츠의 사용금지청구가 받아들여졌다. 그간제호의 법적 보호와 관련하여 저작권법,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한 보호가능여부가 논의되어왔는데, 제호의 법적 보호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보호가능성여부 및 기준이 불명확하였다. 이번 대법원판결은 제호가 주지성을 획득하고 식별력이 존재한다면 부정경쟁방지법상 상품 또는 영업표지로서 보호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제호의 이용이 출처의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면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로 금지될 수 있음을 명백히 하였다. 비단 뮤지컬 뿐 만 아니라, 드라마, 영화, 서적 그리고 음악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 제호가 식별력을 가지고 주지성을 획득하고 있다면 부정경쟁방지법에 따라 보호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드라마나 영화, 뮤지컬 등이 저명성을 획득하는 경우, 출처혼동가능성이 없다하더라도 표지로서 제호의 식별력 약화라든지 명성을 손상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 부정경쟁방지법은 저명상표희석화행위 규정을 두어 이를 규제하고 있는데, 희석화에 대한 규제는 상표법 또는 부정경쟁방지법상 예외적 규제에 해당하므로 엄격한 해석을 통하여 표현의 자유 또는 자유로운 경쟁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Musical “CATS” is Andrew Lloyd Webber's world-famous musical. It has performed since 2003, in Korea, and lots of audience came to see it. The Plaintiff in the case received the license and has performed ‘CATS’ in both english version and korean version for many years with massive promotions and advertisements.
    The defendant “the CATS for Children” also has performed since 2003, which did not have any license but have made the advertising campaigns as if he was a legal performer with permission or sponsorship from the original musical “CATS”. The plaintiff claimed to suspend the use of title “CATS” in the defendant musical “CATS for Children”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UCPL) art. 2-1-(b).
    Under the Act, art 2-1-(b) provides acts of unfair competition, especially the act causing confusion with another person's commercial facilities or activities by using marks identical or similar to, another person's name, trade name, or emblem, or any other mark indicating another person's business, which is widely known in the Republic of Korea. To be applied, the act must be famous, distinctive, and cause confusion to the people in the same industry and consumers. In this case, the court admitted the claim of plaintiff, so the use of title ‘CATs’ cannot be permitted in the defendant musical “CATS for Children”. It is the first case that the use of other’s famous title is one of unfair competition acts under the UCPL.
    In fact, under the system of IP, the protection of title is not clear. The title cannot be protected by Copyright Act, because it was generally admitted that titles are too short to present ‘originality’. On the contrary, if the title s are sufficiently long and original, it can acquire the copyright, but it is quite rare.
    Meanwhile, titles cannot be easy to be registered as a trademark. because titles are descriptive on characteristic, descriptive marks cannot be registered as TM because they do not have distinctiveness as TM.
    To solve the increasing disputes related to titles, especially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UCPL provides the protection of economic profits for famous title right owner. However there might be some limitations in applying UCLP, for excessive expansion of UCLP in titles might cause the infringement of free expression and free competitions. To develop sound environments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it is necessary to employ UCLP properly in the protection of tit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