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통의 미학으로 본 《금오신화》 :<취유부벽정기>를 중심으로 (‘Geumo-Shinhwa’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cation : Focused on ‘Chwiyu-Boobyuckjeong-G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7.08
30P 미리보기
소통의 미학으로 본 《금오신화》 :&lt;취유부벽정기&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통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소통학보 / 16권 / 3호 / 263 ~ 292페이지
    · 저자명 : 이근용

    초록

    기존의 연구들에서 김시습과 그의 시나 소설에 대해 해석할 때는 세조의 왕위 찬탈과 신하들의 변절 행태에 대한 김시습의 불만, 분노, 회한을 바탕 정서로 삼는 경우가많았다. 이 연구는 김시습의 작품이 갖는 의미를 좀 더 다른 관점에서 주목해 보고자한 것이다. 김시습이 갖는 사고의 개방성, 파격성, 참신성 같은 데 주목하되 이것이 갖는 시공간적 소통의 의미에 초점을 맞춰 들여다보고자 했다. 논의는 먼저, <취유부벽정기>를 중심으로 김시습의 작품을 기존의 흐름과 일부 다르게 해석하는 기존 연구들 중, 최근의 몇 가지를 검토해 본 후, 김시습의 작품이 그동안 주목 받지 못했다고 본 소통의 관점으로 그 가치와 미학을 논해 보았다. <취유부벽정기>의 배경인 평양 부벽정은역사를 거슬러 회고와 회상에 젖게 하면서 현세의 무상함과 부박함을 성찰하게 할 수있는 헤테로토피아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소에서 만난 홍생과 기씨녀는 시공간과 남녀의 벽을 넘어 정신적 교감, 일체감을 나누는 환상의 만남을 이루었고또 계속 이어갈 것이라는 희망을 갖게 하면서 시공간을 초월하는 소통의 가능성과 폭을넓혀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취유부벽정기>에서 우리 사회가 소통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 취할 단서나 시사점을 찾아본다면, 공간과 장소가 주는 의미와 성찰의기회를 소통에 반영하고, 신명을 살려 시공간의 벽을 뛰어 넘는 진정한 교감, 공감을 이루는 것이 소통의 길이자 지향점일 수 있겠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Previous studies have interpreted the poetry and works of Kim Si-Seup in terms of his complaint of King Sejo’s usurpation and his subject’s betrayal. This study aims at approaching to the works of Kim Si-Seup from other perspective. While focusing on the openness, disruptiveness, and creativeness of the thoughts of Kim Si-Seup, this study try to explore the space-time related meaning of them. After reviewing some recent papers written from different perspective, the meaning and value of Kim’s works including <‘Chwiyu-Boobyuckjeong-Gi’> were discussed, at first,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cation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heterotopia. Boobyuckjeong in Pyoungyang, the background of the ancient novel, has been interpreted to have the meaning relevant to heterotopia which has made the characters recall the history of the ancestors and the impermanence of human life. The major characters(‘Hong Saeng’ and ‘Kissinyu’) made a fantastic meeting and shared emotions truthfully overcoming space-time barriers, and made a good example showing human communication could be more expansive and boundless by implicating hopeful prospect for their continuous meeting. As a clue for solving the communication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has suggested that the meaning and self-reflection opportunity given by the places encountered in life should be highlighted in communication, and that sharing emotions wholeheartedly and feeling empathy across time-space borders, aided by ’shinmyoung’ emotion, should be a goal of commun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