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교사상에서 본 복지— 초기 도교를 중심으로 — (Welfare in Taoism – Focusing on the Early Tao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4.02
32P 미리보기
도교사상에서 본 복지— 초기 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77호 / 43 ~ 74페이지
    · 저자명 : 김형석

    초록

    본 연구는 ‘복지’라는 영역에 대해 도교는 어떻게 대처했는지 그리고 거기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시론적인 검토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왜 복지를 시행해야 하는가? 그리고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행해졌으며, 그것의 사상적인 근거 또는 이념적 배경은 무엇인가? 또한 그 속에서 현대적으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먼저 도교사상 가운에 복지를 시행해야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두 측면으로 고찰하였다. 즉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신선이 되기 위한 과정에서 덕을 쌓는 것[積德, 積善立功]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이 본래 하늘의 것, 즉 공공재이기 때문에 사적인 독점에만 열중하고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경우, 하늘의 분노를 받게 된다는 이유이다. 특히 周窮救急이라는 사회적 책임의 강조에서 공공성의 이론적 배경을 찾아 볼 수 있다. 도교가 전개되는 역사적 현실 속에서 이러한 생각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났는지 漢代 태평도의 농민봉기운동(황건적의 난), 천사도[오두미도]의 張魯에 관한 일화, 義舍제도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義舍제도나 노장사상, 도교사상을 통해 또다른 ‘자발성’이라는 개념을 포착해냈으며, 전근대사회의 시혜 위주 복지정책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ort of tentative study on how Taoism(Daoism) deal with the realm of ‘welfare’ and on what meanings we could find in it.
    First of all, I examine the reason why we should conduct welfare in the theory of Taoism. As a person, charity(積德) is essential to become a supernatural being(Shenxian, 神仙). Through giving alms to the poor, we can practice good deeds. In a social perspective, Taoism emphasize the public spirit of the Establishment and the public nature of goods, as the concept of the relief of the poor(周窮救急). They said all goods and wealth belong to the Heaven, not a person, so we have right to share them if necessary.
    Second I find some specific examples in history of Taoism: an uprising of the peasants based on Taipingdao(太平道) in Han period, Zhanglu(張魯)’s episodes, and Righteous Shelter(義舍) system in Tianshidao(天師道).
    Especially, I find the concept of spontaneity in Righteous Shelter(義舍) system in Tianshidao(天師道), theory of Taoism and Laozi. I think it could provide a way to overcome paternalism, premodern relief systems devoted to dispens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