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파주의 관점에서 본 시리아 사태 (A Study on the Syrian Situation from the Viewpoint of Sectarianism)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9.02
36P 미리보기
종파주의 관점에서 본 시리아 사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 / 39권 / 3호 / 49 ~ 84페이지
    · 저자명 : 황병하

    초록

    시리아의 현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시리아는 지역 간 통합을 유지하면서 내부의 종파적 갈등을 종식시키는 방법을 절대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시리아의 내전 상황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반정부 세력의 요구사항을 수렴하고 다수파인 순니파 공동체의 대표성을 고양시키면서 통치 권력을 공유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하지만 시리아 정권이 시리아 전역에서 실질적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 알라위파 정보기관들을 해체하지 않는 한 시리아 정치권력구조의 개혁을 얘기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시리아 정치체제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2011년 초 아랍의 봄이 실패로 끝난 이후 여전히 순니파를 포용하지 않고 정치적 변화도 추구하지 않고 있는 알라위파 정권의 점진적 또는 부분적 개혁은 무의미하다고 말할 수 있다.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시리아 인들이 겪었던 정권에 의한 무자비한 폭력의 경험은 순니파나 알라위파 모두에게 종파 간 폭력의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으로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이는 2011년 초 시리아에서 종파 간 폭력이 발생하였고, 이중 상당 부분은 알라위파 정권의 폭력으로 야기되었다는 점을 통해서 입증될 수 있다. 2011년 민주화 시위를 주도했던 청년층은 정치적 취약성을 드러냈으며, 조직화된 정치세력을 구축하지 못했고, 각 종파 공동체의 화합과 단결을 이끌어내지 못했으며, 정치적 단합을 이끌어낼 지도자나 지도부도 부재했기 때문에 이니셔티브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는 시리아 시위의 성격이 초기 반정부 시위 및 민주화 요구 시위에서 정권의 무력 진압 이후 종파 간 갈등과 대립으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2011년 시리아에서 발생한 초기 반정부 투쟁의 핵심 주제인 사회적·경제적 문제는 널리 전파되거나 확산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시리아에서는 정권에 대항한 투쟁보다는 계급 간 갈등이나 종파적 갈등이 더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로 인해 바샤르 정권은 자신들의 정치적 실정, 경제적 실책, 사회적 불평등 문제에서 일종의 면죄부를 발부받게 되었다. 이는 시리아 사태의 본질이 사회적·경제적·정치적 문제에서 종교적 문제로 변질되는 변곡점이 되었다.
    아랍의 봄 이후 시리아 내 사회적·종교적 변화가 목격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바샤르 정권은 뿌리 깊고 정치화된 종파 간 갈등을 종식시키고 시리아 사회를 통합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시리아 사태에 대한 긍정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종파와 씨족과 지역별로 서로 다른 통치 시스템과 종파 구조를 가지고 있는 현 상황이 반드시 개선되고 변화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시리아 사태를 이해하는데 알라위파 부족의 집단연대의식에 대한 고찰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011년 시리아 시위 이전 사회적·지역적 분열 현상은 순니파와 알라위파 공동체 모두에서 동일하게 목격되었다. 알라위파는 순니파와 달리 신학적·정치적·이념적 담론을 거의 형성하지 못했으며, 종교적·사회적 결집력에 대한 논의도 거의 하지 못했다. 하지만 2011년 시리아 민주화 요구 시위는 알라위파의 모든 것을 변화시켰다. 순니파의 시위는 시리아 전역에 퍼져있는 알라위파를 자극시켰으며, 바샤르 정권의 순니파 비난도 설득력을 얻었고, 순니파로부터의 잠재적 공격을 차단하기 위한 알라위파의 결집력 주창도 적극적인 호응을 얻었다. 이로 인해 2011년 시위는 원래의 목표인 민주화 요구를 달성하지 못하고, 순니파와 알라위파 간 종파 갈등이라는 소모적 논쟁만을 야기하였다. 이는 시리아 내전 상황의 악화와 매래를 예측할 수 없는 분열 또는 파편화를 의미하였다. 시리아는 현실적인 정치적 안정과 미래의 통합을 위해서 내부적·외부적 불안 요인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다음 몇 가지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첫째, 시리아 내 다양한 종파 공동체들의 상호 관계를 재건하고 정치적 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보 및 보안당국에 대한 전반적 개혁이 필요하다. 둘째, 정권의 통제 하에 있지 않은 지역들에서 종파를 중심으로 하는 시민 자치정부의 실현은 종파 간 긴장감을 약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종파 간 권력 분배와 분점은 알라위파에 의한 절대적 지배를 공동의 지배로 대체하고 정치적 균형과 안정을 이룩할 수 있는 합리적 수단이다. 넷째, 시리아 시위 이후의 시리아 정치 질서 안정과 민주주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정치 정당과 정치 운동을 강화해야 하고, 시리아인 망명 단체들과의 협력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시리아 시위 이후의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데 종파적 요인들이 유일한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되며, 진정한 다원주의의 실현을 위해서 정당, 활동가 단체, 그리고 NGO 단체들의 사회적 참여도 중요시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urrent Syrian situation from the sectarian viewpoint. Syria is regarded as having a minority regime, that is the minority Alawite community rules over the Sunni Arab majority(two-thirds of the Syrian population).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the regime exploited tribal and kinship solidarity(Alawi asabiyya) and networks to maintain the loyalty of the security sector. The rise of Syria's Alawites regime is a byproduct of French colonial policies. Initially, the Syrian protests against Bashar's regime in 2011 did not adopted a sectarian approach. However, in the ensuing protests and conflicts between anti-government protests and Bashar's regime, the sectarian rhetorics and articles came to spread into Syrian society quickly, and the sectarian identity became an important element in the interpretation of 2011 protest and escalation of violence between them later. This article wants to analyze why the perception of sectarianism did prevail so quickly, and why the main groups of protests did fail to persuade Syrian people that their purpose of protest against the regime was to make 'One Syria'. Finally, this paper will demonstrate some possible suggestions to overcome future Sunni-Alawite conflicts, to maintain social stability and political equilibrium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