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족보를 활용한 조선후기 인구현상의 이해— 전주이씨 『선원속보(璿源續譜)』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Population Dynam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Using Genealogy: Utilizing The Jeonju Yi Clan’s Seonwon Sokbo (璿源續譜))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2.03
38P 미리보기
족보를 활용한 조선후기 인구현상의 이해— 전주이씨 『선원속보(璿源續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33호 / 141 ~ 178페이지
    · 저자명 : 백광열

    초록

    이 글은 전주이씨 대동보인 『선원속보』를 활용하여 조선후기의 출산 관련 현상을 이해해 보려는 시도이다. 지금까지 족보는 자료적 한계로 인해 인구학적 분석에 그다지 잘 이용되지 못했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인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 중에 족보는 그 규모나 질적인 면에서 유용한 자료임이 틀림없다. 이 글에서는 족보가 가진 인구 자료로서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출산 관련 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조선후기 출산 현상과 관련하여 몇 가지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합계출산율 개념을 활용하여, 한 여성이 평생동안 출산해서 성인이 될 때까지 생존시킬 것이 기대되는 자녀 수인 ‘합계생존율’을 구해보았다. 전주이씨 집단에 있어 ‘합계생존율’ 값은 17세기 전반기까지 전란으로 인해 매우 낮은 상태이다가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에 걸쳐 상승하였다. 특히, 종래의 일반적인 관찰과는 다르게 19세기 전반기에 이 값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것은 이 시기 출산 및 인구동태에 관한 인식 재고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비록 완전한 의미의 것은 아니지만, (기록상의) 초산연령 및 평균출산연령도 구해보았다. 이 값은 17세기까지 상승하다가 18세기에 정점에 도달하였다. 이 과정이 ‘합계생존율’의 상승과 병행했다. 18세기 이후에는 기록상 초산연령이 급격히 하강하고 ‘합계생존율’은 증가하였다. 이에 대해 유아사망율이나 출산율의 관련을 통한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한편, 『선원속보』가 왕실 후손의 족보라는 것에서 오는 계층편의를 보완하기 위해 적파/서파를 구분하여 그 인구학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 서파의 영향이 기록상의 출산아 수에 음의 방향으로 작용함을 관찰하였다. 추후,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분석과 다른 사회와의 비교를 가미한다면 인구 및 사회에 관한 보다 심화된 역사상을 가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birth dynam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utilizing the Jeonju Yi clan’s great companion genealogy, The Seonwon Sokbo (璿源續譜, 1900~1902). Until now, genealogy has not often been used for demographic analysis due to data limitations. However, of the available forms of data for understanding the population of the Joseon society, genealogy offers advantages in terms of size and quality.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genealogy as a form of population data, various methods were used to derive and analyze fertility-related indicators. The result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birth Dynam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dapting the concept of Total Fertility Rate (TFR), I calculated the Yi clan’s ‘total survival rate’. This is the number of children a woman is expected to give birth to and survive to adulthood. In the Jeonju Yi clan, the ‘total survival rate’ was very low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due to war, but rose from the late 17th to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total survival rate stayed at a very high level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 finding which differs from previous observations. This suggests we need to reconsider fertility and population-related phenomena during this period. Although the data was not complete, I also calculated the women’s (recorded) average age at first birth and (recorded) mean age at birth. These values rose through the 17th century and peaked in the 18th century. This process coincided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survival rate. After the 18th century women’s (recorded) average age at first birth dropped sharply while the total survival rate increased. In this regard, an interpretation was attempt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the infant mortality rate and the fertility rate. The Seonwon Sokbo has an inherent class bias because it is a genealogy of royal descendants, so,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demographic effects for legitimate and illegitimate son were investigated individually.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illegitimacy had a negative effect on fertility. In the future, if we add analysis of various variables and comparison with other societies, we may be able to attain a more in-depth history of population and society during thi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