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화선(看話禪)과 천태지관(天台止觀)- 선병(禪病)을 중심으로 - (GanhwaSeon and the Tiantai School’s Samatha-Vipassanā - Focus on Seon Disease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12
27P 미리보기
간화선(看話禪)과 천태지관(天台止觀)- 선병(禪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7호 / 143 ~ 169페이지
    · 저자명 : 김종두

    초록

    인간은 누구나 살아가면서 아프고 병이 들며 고생하면서 살아간다. 흔히들 몸병은 마음병이고 마음병은 몸병이라고 한다. 마음이 아프고 괴롭고 스트레스가 많으면 그것이고스란히 몸으로 와서 각종 질환이 생기며 암으로 발전한다. 또한 몸의 어느 한부분에이상이 생기면 그것이 그대로 마음으로 전달되서 정신질환이나 각종 장애가 된다. 그래서 몸과 마음의 조화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진정한 깨달음도 몸과 마음의 조화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마음을 지나치게 집중하여 몸의 균형을 잃어버리면 병이 생기고, 너무 느슨하여 적절한 긴장감이떨어지면 그 또한 몸과 정신의 이상으로 발전되기 쉽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대비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진정한의미의 깨달음은 잠깐의 화두(話頭)를 들거나 수행을 해서 이루어 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긴 시간의 여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간화선 수행자도 화두를 참구할 때 선병(禪病)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선병에 대한진단과 처방이 없다면 올바른 수행과 증득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서 혼침(昏沈)으로이어지는 우울증과 도거(掉擧)로 이어지는 불안 등은 반드시 경계해야 된다. 이것은 천태지관(天台止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정신적인 번뇌인 마사(魔事)로 인하여 오는 사대(四大)의 부조화와 파괴 그리고 우울증과 조증(躁症)은 모든 수행자에게 큰 방해가된다. 또한 사대의 조화와 섭생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화선과 천태지관은 화두를 참구하는 것과 공(空), 가(假), 중(中)을 일심삼관(一心 三觀)하여 일념삼천(一念三千)의 실상을 증득하는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수행의 도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병(病)에 대해서는 간화선은 선병으로, 천태는 『마하지관』의 병환경 등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다. 그런데 간화선은 십종선병을 내용에 따라 지해(知解), 안주(安住), 인증(引證), 대오(待悟)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 열 가지 중에 7가지가 지해(知解)로 분류하고, 나머지 안주는 아무 일 없는 곳에 빠져있어서는 안 된다.(不得坐 在無事甲裡)와 인증은 문자로 증거를 삼아서는 안 된다(不得向文字中引證)와, 대오는깨닫기를 기다리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된다.(不得將心待悟)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안주를 혼침으로, 도거를 대오로 분류하면서 혼침을 우울증, 도거를 불안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 천태는 사대와 조화와 마사의 일을 통해서 우울증과 조증등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대처로 철저하게 공관(空觀)을 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간화선과 천태지관은 방법론적인 차이는 있지만, 수행의 길에서 만나는 병에 대해서, 혼침과 도거라는 관점에서 공통점과 유사점을 찾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천태는 보다 세밀하게 분류하면서 우리 몸의 조화와 섭생을 강조하였고, 간화선은 알음알이와 사량분별을 없애면서 선병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현대의 수행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매우 유용하며 효과가 있는 병의 치료라고 할 수 있지만, 아직은 간화선을 통한 심리치료와 정신치료는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Without exception, human life invariably has to go through sickness and suffering. The quantum of life becomes quite small when we consider the time we spend sleeping or being sick. We all aim to be free of diseases, but in reality that is not quite possible. It is often said that a physical ailment is a mental ailment and vice versa. Mental agony or stress can manifest in the body and result in various diseases, even cancer. Conversely, a dysfunction in any part of the body manifests in the mind, resulting in mental illness or other disorders. Therefore, harmony of body and mind is important.
    I believe that enlightenment is also possible only by bringing about harmony between the body and mind. Concentrating solely on the mind and creating an imbalance in the body can make us prone to sickness. On the contrary, if the mind is too complacent and without a care or a certain requisite amount of tension, it may lead to disorders in the body and mind. Therefore, we need to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how to achieve a psychosomatic balance because, for most practitioners, enlightenment in its true sense is achieved only after a long journey, although some practitioners do believe that it is also attainable through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investigation of a hwadu or of other practices. GanhwaSeon practitioners may develop Seon diseases during their hwadu investigation. Without proper diagnosis and cure, it is difficult to expect a proper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erefore, one should definitely guard against depression, which can lead to torpor, and against anxiety, which can lead to restlessness. The same is true of the Tiantai School’s samatha-vipassanā. Imbalance and disruption of the four great elements, which may be due to mental afflictions, depression, or manic disorders, prove to be a great challenge for practitioners. Harmony among the four great elements and a proper diet are deemed important.
    GanhwaSeon practitioners investigate a hwadu, and practitioners of the Tiantai School’s samatha-vipassanā aim to attain their true nature by embracing the 3,000 worlds in one thought based on the practice of contemplating phenomena from having “three viewpoints on a single thought”: empty, provisional, and the mean.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practice techniques, both deal with abnormality or sickness arising from practice: GanhwaSeon warns of Seon diseases, and the Tiantai School speaks of “disease 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in 『MoheZhiguan』. GanhwaSeon divides the ten diseases into four groups: intellectual understanding, complacency, verification through letters, and expectation of enlightenment. Of the ten diseases, seven fall under “intellectual understanding.” “Complacency” refers to being overly complacent and feeling that one is free of all troubles. “Verification through letters” means that one should not view the written word as proof, and “expectation of enlightenment” means that one should not wait for enlightenment. Of these four groups, I connect complacency to torpor and expectation of enlightenment to restlessness. I also equate torpor to depression and restlessness to anxiety. About these matters, the Tiantai School explains that imbalance of the four great elements and mental afflictions bring about depression and manic disorders, and it advises that one should thoroughly contemplate emptiness to prevent or cope with these.
    Although GanhwaSeon and samatha-vipassanā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 method they adopt, they share similarities in dealing with diseases that the practitioners may encounter on the path and in including torpor and restlessness as two of these diseases. The Tiantai School has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for such diseases and emphasizes maintaining a proper balance of the human body and diet, while GanhwaSeon emphasizes removing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discriminative thinking as a way to overcome Seon diseases. These analyses can be useful both to modern practitioners and to the public, and they apparently provide an effective cure. However, using GanhwaSeon in psychotherapy and mental health is still in its infancy and needs further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