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벌 보건안보와 전염병 (Global Health Security and Epidemic Diseas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0.08
34P 미리보기
글로벌 보건안보와 전염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법연구 / 20권 / 2호 / 85 ~ 118페이지
    · 저자명 : 오미영

    초록

    지난해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 바이러스(Corona Virus Disease-19: COVID-19)’는 3월 이후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3월 11일(현지 시간)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하였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인명 피해 및 사회적·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왔으며, 우리의 일상은 물론 사회, 경제, 안보 등 각 분야에 새로운 인식과 흐름을 가져왔다.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보건안보 및 보건협력이 주목을 받고 있다.
    90년대 이래 신종 전염병의 발생 및 전통적 전염병의 재등장에 의한 글로벌 확산의 공포는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보건 이슈를 안보차원에서 대응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공중보건과 국가안보를 결합한 보건안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보건안보는 1994년 UN이 발간한 인간개발보고서에 보건안보가 7가지 인간안보 유형의 하나로도 포함되어 있다. 국제사회는 보건을 위해 국제기구를 설립하고 국제보건규칙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였다. 특히 국제보건규칙(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은 2005년 개정을 하여 규범적 차원에서는 전염병 통제의 규범적 틀을 상당히 강화하였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규범을 마련하였다고 하더라도 국가들의 협력 없이는 전염병의 실효적 통제는 이루어질 수 없다.
    현재 각국은 전염병의 예방뿐만 아니라 전파력이 강한 고위험성 전염병 발생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대응체계의 구축을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은 한 국가만의 노력만으로는 사태를 억제하고 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보건협력이 요구되는 이 시점에서 국가들간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보건안보의 개념과 보건안보를 위해 어떠한 국제적 노력이 있었는지, 또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은 코로나19사태와 같은 위기상황을 어떠한 관리체계를 통해 대처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앞으로 신종 전염병의 출현이 계속 되어질 경우 국제사회가 어떻게 협력해야 할 것인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Corona Virus Disease-19: ‘COVID-19) that initiated from Wuhan, Hubei Province in China on 31 December 2019 has spread to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since March 2020. On 11 March 2020, the WH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clared “Pandemic” of COVID 19. COVID 19 has brought new perceptions and trends to every aspect of our daily life, including social, economic, national security, etc. In particular, newly appearing epidemic diseases such as the COVID-19 made “health security and cooperation issue” came under the spotlight.
    The fear of spreading new types of epidemic diseases and reappearance of traditional ones on a global scale since the 1990s has prompted many stat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o respond to health issues at the national security perspectives. Thus, the concept of health security combined with public health and national security has emerged. The notion of Health Security is also included as one of the seven types of Human Security in Human Development Reports published by the United Nations in 1994.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made various efforts to enhance public health by establish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nacting international heal regulations.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 amended in 2005 has significantly been evaluated as strengthening regulatory frameworks on control of epidemic diseases. Nevertheless, even if the relevant international legal regimes have been established, effective control of epidemics in the field may not be achieved without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nations.
    At present, every state is taking various measures not only to prevent epidemics, but also to organize a response system to efficiently cope with high-risk outbreaks with high propagation power. However, epidemics such as COVID 19 cannot be suppressed and controlled by only one nation’s efforts. Therefore,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states is crucially important in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In this article, the author looked at the concept of “(Human) Health Security”, “what international efforts have been done for Health Security”, and “what controlling system on COVID 19 in the Republic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dealing with the current pandemic”. Simultaneously, dealt with the question of ho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ooperate if COVID19 alike epidemics will continuously appear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