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만금 신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별 식생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on Soils Having Different Salinity in Recently Reclaimed Saemangeumin Region of Korea)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2.03
9P 미리보기
새만금 신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별 식생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잡초학회
    · 수록지 정보 : Weed&Turfgrass Science / 32권 / 1호 / 1 ~ 9페이지
    · 저자명 : 김선, 김택겸, 정재혁, 양창휴, 이장희, 최원영, 김영두, 김시주, 성기영

    초록

    간척지를 농업용지로 개발하는데 간척지에 자생하는 식생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새만금 간척지 내 계화지구에서 식생군락에 따라 식물종을 분류하고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다음과 같다. 담수면 토양을 기점으로 조사된 위치별토양염농도는 담수면 인접부가 22.3dS m^-1 로 가장 높았고 육지쪽으로 진행될수록 낮아져 해수면에서 2km 이상 되는 지점에서는 1.1~3.44dS m^-1를 나타냈다. 자생하는 식물은 6과 26종이 조사되었으며, 식물종별 발생빈도는 갯개미취, 비짜루국화가 61.5로 가장 높은빈도를 나타냈고, 이어 갈대와 갯꾸러미풀이 53.8이었다. 식생의 발생은 토양 염농도 14dS m^-1 지점에서 시작되었고 주로 명아주과 염생식물들인 퉁퉁마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등이 나타났다. 이후 6.7dS m^-1지점에서부터 화본과 식물인 갈대, 갯꾸러미풀 등이나타났고, 5dS m^-1 에서 사초과 식물이 나타났다. 3dS m^-1이하에서는 비짜루국화, 갈대, 피, 갯잔디, 망초 등중성식물들이 나타났다. 식생 종수는 염생식물과 중생식물이 동시에 나타나는 5dS m^-1 지점에서 많았고,Biomass는 갈대가 우점한 식생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갈대+자귀풀이 우점한 식생에서 많았다. 식생의 생장량은 토양 염농도와는 부의상관을 나타냈고,유기물함량과는 정의상관을 나타냈으며, pH와 식생의우점도간에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vegetation changes and soil characteristics in Saemangeum new reclaimed tidal land. Soil salinity in border area to tidal land was 22.3 dS m^-1 but showed 1.1~3.44 dS m^-1 over the distance of 2 km from border line. The vascular plants in survey sites were recorded as total 26 taxa in 6 families. The frequency of species appearance of Aster tripolium, A. subulatus var. sandwicensis were highest by 61.5 and that of Phragmites communis, Puccinellia nipponica were 53.8.
    The almost vegetations occurred in the patch which range of soil salinity 14 dS m^-1 were halophytes as Salicornia europaea, Suaeda asparagoides, S. japonica. As lowed soil salinity as 6.7 dS m^-1, mixed vegetation of halophytes with P. communis, P. nipponica, Carex pumila were occurred. Dominant species in the range of 3.0 dS m^-1 area were A. subulatus var. sandwicensis, P. communis, Echinochloa spp., Zoysia sinica and Conyza canadensis. Biomass production was the highest in the area of dominant vegetation with P. communis, and mixed zone with P. communis and Aeschynomene indica are followed.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biomass and soil salinity, soil pH and dominance index of vegetation were negative.
    But that of vegetation biomass and soil organic content were posi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Weed&Turfgrass Scien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