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투자자별 거래행태와 비대칭 변동성 (Investors’ Trading Behavior and Asymmetric Volati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9.09
25P 미리보기
투자자별 거래행태와 비대칭 변동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금융학회
    · 수록지 정보 : 금융연구 / 23권 / 3호 / 25 ~ 49페이지
    · 저자명 : 길재욱, 김나영, 이은정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가변동성이 수익률의 양의 충격보다 음의 충격에 더 민감하게 비대칭적으로 반
    응한다는 비대칭 변동성의 원인으로 투자자의 위험회피적 효용함수와 이에 따른 거래행태의 차이
    를 고려하고 있다. 즉 투자자별 효용함수에 따른 거래행태가 비대칭 변동성의 원인인지를 살펴보
    기 위해 개인투자자, 외국인투자자, 그리고 기관투자자의 거래비중에 따른 비대칭 변동성의 차이
    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위험회피형 효용함수를 갖는 개인 투자자의 거래비중이 높을수록 비
    대칭 변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위험회피정도가 낮은 효용함수를 갖는 기관투
    자자 및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비중이 높을수록 비대칭 변동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
    석결과는 위험회피형 효용함수를 갖는 개인투자자들의 경우에는 주가가 상승할 때 주식매입을 실
    패함으로써 예상되는 효용의 감소보다 주가가 하락할 때 주식매도를 실패함으로써 예상되는 효용
    의 감소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나쁜 뉴스가 발생할 경우 보다 더 적극적으로 보유주식을 매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상대적으로 위험회피정도가 낮은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 투자자들은
    자본이익실현의 실패나 자본손실회피의 실패가 기대효용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 비대칭
    적이기 때문에 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반응하는 정도가 더 약하게 나타남을
    시사한다. 한편 기업규모 및 부채비율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투자자별 거래비중에 따라 비
    대칭 변동성의 차이가 유의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Asymmetric volatility of stock returns such that we observe larger reactions
    in returns to bad news than good news has been a puzzle in the
    existing literature. Volatility asymmetry means that when stock price drops
    (rises), the volatility of the returns typically increases (decreases). The asymmetric
    volatility phenomenon may also be described 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ock returns and innovations in expected volatility. Two prominent
    theories that document and explain the asymmetric volatility property of individual
    stock returns are the “leverage effect” of Black (1976) and Christie
    (1982) and the “positive feedback” mechanism of Pindyck (1984), French,
    Schwert, and Stambaugh (1987) and others. The financial leverage hypothesis
    explains that as the price of a stock decreases, the firm’s financial leverage
    increases, leading to a higher volatility of equity. Although, to many, “leverage
    effects” have become synonymous with asymmetric volatility, the asymmetric
    nature of the volatility response to return shocks could simply reflect
    the existence of time-varying risk premiums. The risk premium hypothesis,
    also known as the volatility feedback effect, proposes that an increase in
    unexpected volatility will increase expected future volatility. The resulting
    increase in expected returns causes prices to drop and leads to volatility
    asymmetry. As a result, it appears that financial leverage does not play much
    of a role in explaining volatility asymmetry. Certainly the leverage effect
    and the volatility feedback effect could both be at work.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ource of asymmetric volatility by
    introducing investor’s risk aversion. We hypothesize that investors’ risk
    aversion and therefore their risk averse trading behavior would be a possible
    cause for the asymmetric stock return volatility observed in stock markets.
    When investors are risk averse, the increase in their utility from a positive
    return on investment is less than the decrease in their utility from a same
    size of negative return, and therefore they are more likely to react to bad
    news more sensitively, leading to larger down side movements in stock
    returns.
    As a way to test the hypothesis, we divide investors into three groups
    of individual investors,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and analyze
    if their proportions in the trading volume of stocks would lead to any
    difference in the levels of the asymmetric volatility. Our empirical assumption
    is that individual investors would be more risk averse than institutional or
    foreign investors. As we expected, stocks with higher proportions of individual
    trading tend to show higher asymmetric volatility, while stocks with
    higher proportions of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tend to
    show lower asymmetric volatility. The results remain robust even after we
    control for firm size and lever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