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대별 고용의 성장 탄력성에 관한 연구 (Generational Growth Elasticities of Employment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6
26P 미리보기
세대별 고용의 성장 탄력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질서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질서경제저널 / 22권 / 2호 / 53 ~ 78페이지
    · 저자명 : 김준

    초록

    본 논문은 우선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경제성장과 고용간의 관계를 전체 및 세대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지표로는 고용의 성장 탄력성을 정립하고, 15세 이상 전 연령을 다섯 그룹으로 나누어 호 탄력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전체적으로는 ‘고용 없는 성장’에서 ‘성장 없는 고용’으로 바뀌었지만, 세대별로는 극심한 편차가 나타난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우리나라 고용의 전반적 요인을 분석하고, 청년층의 고용 부진 및 핵심 노동연령층의 고용 악화, 그리고 중․노년층의 고용 호조 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과 고용에 대한 전망을 정책적 시사점과 함께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수요와 공급 측면을 아우르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 등이 전반적인 ‘성장 없는 고용’ 현상에 기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년층의 고용 부진에는 서비스업 비중의 하락, 고학력화로 인한 일자리 미스매치 등이 그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핵심연령층의 고용 악화는 인구학적 요인 외에 기술진보와 글로벌화에 따른 일자리의 양극화, 건설업․제조업의 둔화 등이 큰 영향을 미쳤다. 중․노년층의 고용 호조는 노동시장 체류의 장기화, 정부 재정 일자리 사업의 확대 등에 주로 기인하였다.
    경제성장 없이 고용의 증가가 장기적으로 유지되기는 어렵다. ‘성장 없는 고용’은 생산성 하락과 경쟁력 약화로 이어져, 결국 저성장과 함께 고용 흡수력도 떨어지는 ‘고용 없는 저성장’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올해 세계와 우리나라 경제는 대체로 지난해보다 더 나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시점에서 고용이 중요한 정책 목표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고용을 유발하기보다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지식과 기술 등 인적 자본이 투영된 노동으로 진화할 것이 요구된다. 아울러 앞으로 노동시장의 주요 연령대로 자리 잡게 될 노년층 노동에 대한 본격적인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영어초록

    Both world and Korean economy have changed sharply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e pre-Global Financial Crisis era is an age of ‘jobless growth’, which means that economic growth rate is relatively higher than increase rate of employment. In contrast, the post-Global Financial Crisis era is an age of 'growthless jobs', which means that increase rate of employm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economic growth rat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vere difference in generational growth elasticities of employment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the pre-Global Financial Crisis era during 2001∼2007 period and the post-Global Financial Crisis era during 2011∼2017 period in Korea. So it divides total population of aged 15 and over into five groups, which cover age of 15∼29, of 30∼39, of 40∼49, of 50∼59, and of 60 and over. For the purpose, it establishes the arc elasticity of employment to economic growth as an indic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t calculates these generational elasticities in total and five groups. It analyses the aspects of the transition from the pre-Global Financial Crisis era to the post-Global Financial Crisis era, and infers the meanings of the severe difference in generational growth elasticities of employment.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provides conclu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To compare the pre-Global Financial Crisis era with the post-Global Financial Crisis era, the arc elasticity of employment to economic growth is used as an indicator, that is a value of increase rate of employed persons denominated by economic growth rate. If the growth elasticity of employment in the post-Global Financial Crisis era is higher than in the pre-Global Financial Crisis era, we can confirm that there is a change which represents that increase rate of employment has been relatively higher than economic growth rate. On the contrary, if the growth elasticity of employment in the post-Global Financial Crisis era is lower than in the pre-Global Financial Crisis era, we can confirm that there is a change which represents that increase rate of employment has been relatively lower than economic growth r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ase of total labor population reveals a robust change from ‘jobless growth’ to ‘growthless jobs’. However, generational aspects differ severely across the five groups. The first group of aged 15∼29 reveals that the growth elasticity of employment has changed from –0.47 in the pre-Global Financial Crisis era to –0.05 in the post-Global Financial Crisis era. The second group of aged 30∼39 reveals that the elasticity has changed from 0.01 to –0.22. The third group of aged 40∼49 reveals that the elasticity has changed from 0.66 to 0.07. The forth group of aged 50∼59 reveals that the elasticity has changed from 0.97 to 1.35. The fifth group of aged 60 and over reveals that the elasticity has changed from 0.69 to 2.02.
    The above outcom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of young age population(aged 15∼39) continues to be poor. Second, the employment of prime working-age population(aged 30∼49) has been worsening. Third, the employment of middle and old age population(aged 50 and over) continues to be good.
    What are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college graduates, initial firm size and contract type matter for later labor performances, showing that the dual structure of labor market, which is centered around firm size and contract type, has a particularly large influence. Earnings at the first or initial job can explain future labor market performances very well. The long-term effects of the first or initial job placement play a key role in the social problem.
    Middle-skilled jobs have vanished enormously, while high and low-skilled jobs have increased. Particularly, jobs have been polarized more rapidly in recessions and changed through pushing many middle-skilled prime age workers either into the inter-sector reallocation among high and low-skilled jobs or out of employment.
    As the average life span increases, old age population has increased sharply. Therefore old peoples who want to gain jobs have also increased continuously. But a private support method on the elderly employment is minimal, and depending on public financial support from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can not satisfy their rising needs. One of the best policy measures for old age population is to let them stay employed for a longer time. To work longer requires re-designing the lifetime work schedule, and government should tune up life-long education scheme and social insurance system.
    ‘Growthless jobs’ can never be sustainable. If weak economic growth continues for the time being as expected, employment can not but shrink. As a result, 'growthless jobs' will fall in the trap of 'jobless low-growth' in the end, which means that both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are depressed together. Rapid aging and the fact that baby-boomers already started to retire have raised a doubt about sustainable growth and a possibility of decrease in working age population.
    In addition to economic growth, employment is a very important issue. So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should provide decent jobs with adequate incomes and stable employment conditions as well as more job opportunities. It is also requested for labor market system to link job seekers to its providers, together with such public rules as higher retirement age and wage peak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질서경제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