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시도별 장래인구 예측 (The Projection of Future Population for the Regions in South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1.11
20P 미리보기
한국의 시도별 장래인구 예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수록지 정보 : 국토계획 / 46권 / 6호 / 79 ~ 98페이지
    · 저자명 : 김형기, 문경종

    초록

    This paper aims to project the future population of Greater-city and Regions for 2010-2070 in South Korea. The projections use four methods which are the time series of population growth, the fertility & mortality & migration factors, location factor, and the growth rate of GRD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pulation of S.Korea is projected to be 5,052 in 2010, 5,256 in 2020, 5,413 in 2030, 5,600 ten thousands in 2050, and the population of Capital Region will grow into 2,636 in 2020, 2,750 in 2030, 2,885 in 2050. Seoul will be 1042, 1049, 1059, Incheon will become 296, 314, 347 respectively, and Gyeonggido will be 1,298 in 2020, 1,387 in 2030, 1,479 in 2050, recording so high growth as 300 over 40 year. Second, the population of the Provincial Regions are projected to very slowly increase in spite of the growth of immigrants into S.Korea, so that Busan is found to be 340 in 2020, 330 in 2030, 324 ten thousands in 2050, and Gwangju will be 152, 157, 163 respectively. Third, total population over 60 year is projected to rise to 12.5 percent until both growing migration population and population distribution rate in regions have convergent trend. The implications of policy have three viewpoint. First, it is needed that policy makers should prepare for the plan of taking in the increase of labor force population, housing demand, elderly population, immigrant population. Second, we also need to perform the efficient policy that decentralizes population in Capital Region and concentrates population in Regions, among which the former needs to control overpopulation and the latter demands the selected and centralized development for efficient land use. Third, the policy also needs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with controling the inflowing foreign population.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project the future population of Greater-city and Regions for 2010-2070 in South Korea. The projections use four methods which are the time series of population growth, the fertility & mortality & migration factors, location factor, and the growth rate of GRD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pulation of S.Korea is projected to be 5,052 in 2010, 5,256 in 2020, 5,413 in 2030, 5,600 ten thousands in 2050, and the population of Capital Region will grow into 2,636 in 2020, 2,750 in 2030, 2,885 in 2050. Seoul will be 1042, 1049, 1059, Incheon will become 296, 314, 347 respectively, and Gyeonggido will be 1,298 in 2020, 1,387 in 2030, 1,479 in 2050, recording so high growth as 300 over 40 year. Second, the population of the Provincial Regions are projected to very slowly increase in spite of the growth of immigrants into S.Korea, so that Busan is found to be 340 in 2020, 330 in 2030, 324 ten thousands in 2050, and Gwangju will be 152, 157, 163 respectively. Third, total population over 60 year is projected to rise to 12.5 percent until both growing migration population and population distribution rate in regions have convergent trend. The implications of policy have three viewpoint. First, it is needed that policy makers should prepare for the plan of taking in the increase of labor force population, housing demand, elderly population, immigrant population. Second, we also need to perform the efficient policy that decentralizes population in Capital Region and concentrates population in Regions, among which the former needs to control overpopulation and the latter demands the selected and centralized development for efficient land use. Third, the policy also needs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with controling the inflowing foreign pop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토계획”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