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석 시의 영상 상상력 연구—「힌 바람벽이 있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 Imagination of Baek-seok’s Poems—Focusing on There is a White Wind Wal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1.09
27P 미리보기
백석 시의 영상 상상력 연구—「힌 바람벽이 있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86호 / 131 ~ 157페이지
    · 저자명 : 전동진

    초록

    20세기가 영화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영상의 시대라고 할 만한다. 영화는 제작시스템과 기술을 갖춘 소수의 전문가들이 제작할 수 있었다. 반면 영상의 제작과 유통은 다양한 영상플랫폼을 통해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다. 누구나 어렵지 않게 영상의 제작, 유통, 소비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매체로서 영화는 종이 매체와는 다른 위상을 가진 까닭에 둘의 공존은 가능했다. 특히 영화와 소설은 공동 작업을 통해 매체의 상승효과를 누리기도 했다. 21세기는 텍스트의 시대도 영화의 시대도 아니다. 동영상의 시대로 빠르게 전환되었다. 제작자와 소비자는 구분되지 않고 누구나 ‘크리에이터’로서 자리하게 되었다. 대중이 손에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은 동영상의 소비매체이자, 생산도구이다.
    오늘날은 과학기술이 세계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인문성의 강화에 대한 요구는 절실하다. 종이 매체를 중심으로 한 인문콘텐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날로 줄어들고 있다. 문화적인 균형과 조화를 위해서는 대중들이 선호하는 문화콘텐츠의 인문성 강화에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은 단순히 인문학 텍스트를 동영상 콘텐츠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중문화 콘텐츠의 인문성을 강화하는 하나의 방안을 백석의 시 「힌 바람벽이 있어」의 분석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9세기 말에 영화가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1930년대의 대중 매체는 영화가 장악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1950년대 중반에 TV가 들어왔다. 스크린과 브라운관이 공존하는 시대가 열린 것은 1960년대라고 할 수 있다.
    백석의 「힌 바람벽이 있어」에 대한 기존의 분석과 해석은 대부분 영화적 상상력에 집중되어 있었다. 백석의 시가 전대미문의 새로움이라는 평가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면, 영화적 상상력은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는 것이다. 이 시를 생방송 상상력으로 읽을 수 있다면 이것은 시대를 한참 앞선 상상력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동영상 상상력을 통해 읽어낸다면 백석의 시에 대한 ‘전대미문의 새로움’이라는 평가에 값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 해석 과정이 동영상 제작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동영상 제작 전략의 하나로 시적 상상력이 활용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좀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인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f the 20th century was the age of cinema, the 21st century can be said to be the age of video. A film could be produced by a small number of professionals with production systems and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videos is open to everyone through various video platforms. Anyone can participate independently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videos without difficulty. The coexistence of the two was possible because film as a media has a different status from that of paper. In particular, films and novels enjoyed a synergistic effect as a medium through collaboration. The 21st century is neither the age of texts nor the age of films. The transition to the age of video has changed rapidly.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everyone is positioned as a 'creator'. smartphone carried by the public are both a consumption medium and a production tool for video.
    Today, science and technology are leading the change in the world. The demand for strengthening the humanities is urgent, but the public is not interested in the contents of humanity in paper media, which have traditionally represented the humanities. There is no choice but to actively utilize the cultural contents preferred by the public. This should go beyond the primary requirement of simply producing Humanities content as video content. This possibility is to be explored focusing on Baek-seok's poem "There is a White Wind Wall".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inema came to Korea. It would no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movies dominated the mass media in the 1930s. Television came in the mid-1950s. The era of coexistence of screens and CRTs opened in the 1960s.
    Most of the previous analyzes and interpretations of Baek Seok’s “There is a White Wind Wall” focused on the ci6nematic imagination. If it is possible to evaluate Baek Seok's poetic novelty as never before, his cinematic imagination is nothing new. If this poem can be read with the imagination of a live broadcast, that is, the imagination of a cathode-ray tube,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imagination far ahead of its time. If it can be read with video imagination, that is, 'monitor imagination', it will be valuable in the evaluation of 'unprecedented novelty'. If thi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is used for video production, poetic imagination can be utilized as one of the video production strategies. At a more fundamental level,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humanities of video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