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음규제 및 저감을 위한 법적 과제 (Rechtliche Aufgaben für den Lärmschutz und -minder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7.02
30P 미리보기
소음규제 및 저감을 위한 법적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8권 / 1호 / 175 ~ 204페이지
    · 저자명 : 김남철

    초록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가 있고, 국민들의 ‘조용하고 평온한 환경에서 살 기본권’을 보장하는 것이 행정주체의 임무이다. 그런데 토지이용의 자본적 극대화를 동반한 개발위주의 정책으로 말미암아 도시의 소음은 오히려 흔한 일상이 되어 버렸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공해인 교통소음으로부터 일반 국민들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특히 도로의 설치나 건축물의 건축단계에서 사전적으로 소음을 방지하는 문제와 이미 소음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소음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킴으로써 국민들의 정온한 생활권을 보호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소음에 대한 규제는 재산권과 생명․신체에 대한 불훼손성에 대한 기본권을 보호하여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적극적인 의미의 환경권으로서 ‘정온한 환경에서 살 기본권’을 실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소음규제와 관련하여 소음․진동관리법이 제정되어 있으나, 그 외의 공간계획법이나 도로 관련법에는 별 다른 규정이 없어, 공간의 활용에 있어 관련 법률들 간에 소음을 막기 위한 체계적인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소음규제정책의 경우에도 과거 2006년의 생활소음 줄이기 종합대책 이후 그렇다할 소음규제정책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일의 경우는 연방환경오염방지법에 적극적 소음방지와 손실보상, 소음저감계획, 유해환경방지와 타법상의 계획과의 연계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고, 또한 건축이나 도로 관련 법률에 소음방지를 위하여 공간계획에 이를 반영하도록 하거나 도로 주변 토지이용을 규제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현재 소음․진동관리법은 규제대상이 제한적이고 한도치도 낮은 편이어서 소음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데에는 여전히 미흡하고, 예방적 조치보다는 사후적 조치에 치중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소음․진동관리법과 다른 환경 또는 공간관련법률과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무엇보다도 소음방지 및 저감을 위한 독립한 정책이 부재하다는 문제가 있다.
    향후 소음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음관리방식을 예방적인 점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전환하고, 소음과 관련된 정책을 마련하며, 모든 공간계획에 이와 같은 소음대책을 포함시키는 것을 의무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건축법ㆍ주택법 등에 소음방지를 허가요건으로 규정하는 등 사전적으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소음․진동관리법에도 시설의 설치와 관련하여 소음방지의무를 보다 적극적으로 부과하는 규정을 두고, 주민의 권리보호를 위하여 손실보상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며, 현재의 교통소음관리지역을 보다 구체화하고 그 대상지역도 확대한 후 이 지역에 대하여 소음저감계획의 수립․시행을 의무화하는 규정을 두는 등의 개정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Das Volk hat das Recht auf das Leben in der gesunden und angenehmen Umwelt, und es ist die Pflicht der Verwaltungsträger, das Recht auf die ruhige und friedliche Umwelt des Volkes zu gewährleisten. Aber wegen der auf Entwicklung konzentrierten Politik ist der Lärm im städtischen Leben heutze ganz normales Alltagsleben geworden.
    In dieser Abhandlung wurde der Schutz des Volkes vor Lärm, insbesondere vorbeugender Lärmschutz bei der Bebauung der Straßen und sonstigen baulichen Anlagen und nachträglicher Lärmschutz durch verschiedene Lärmminderungsmitteln untersucht.
    Der Lärm ist zwar für den Schutz der Grundrechten auf das Eigentum sowie auf Leben und körperliche Unversehrtheit zu regulieren, aber auch für die Verwirklichung des Grundrechts auf dem gesunden und angenehmen Umwelt.
    Für den Lärmschutz gibt es in Korea das Lärm·Erschütterungskontrollgesetz, aber sonst fast keine Lärmschutzregelungen mehr in anderen raum- und staßenbezogenen Gesetzen. Deswegen läuft die systematische Verbindung zwischen Gesetzen für Lärmschutz einfach nicht. Und zur Zeit gibt es keine selbständige, beduetsame Lärmpolitik in der Regierung.
    Bundes-Immissionsschutzgesetz in Deutschland regelt die Absperrungspflicht der schädliche Umwelteinwirkungen durch Verkehrsgeräusche, die Entschädigung für Schallschutzmaßnahmen, Lärmminderungsplanung sowie die Rücksicht auf die mögliche Vermeidung der schädlichen Umwelteinwirkungen bei raumbedeutsamen Planungen und Maßnahmen. Damit sind in den allen raumbedeutsamen Planungen und Maßnahmen, wie z.B. der Inhalt des Lärmschutzes einheitlich und systematisch zu enthalten.
    Für die Verbesserung beim Lärmschutz in Korea muß zuerst das Lärmschutzsystem zum vorbeugenden System umgewaldelt und die selbständige Lärmpolitik aufgestellt werden. Danach müssen die Lärmregulierungen im Lärm․Erschütterungskontrollgesetz viel verstärkt werden. Insbesondere müssen die Absperrungspflicht der schädliche Umwelteinwirkungen bei den großen baulichen Anlagen und die Entschädigung für Nachbarschutz neu geregelt werden. Ferner sind die gegenwärtigen Gebiete, wo die Verkehrsgeräusche kontrolliert werden müssen, etwas zu erweitern und in diesen Gebieben ist die Lärmminderungsplanung aufzustellen und durchzufüh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