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제활성화 목적의 토지수용과 ‘공공의 사용’ 요건에 관한 법적 논의 - 미국의 판례법을 중심으로 - (A legal discussion of takings of real estate and ‘public use’ requirements for economic revitalization focusing on US Case Law - Kelo v. City of New London, 545 U.S. 469 (2005)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0.05
33P 미리보기
경제활성화 목적의 토지수용과 ‘공공의 사용’ 요건에 관한 법적 논의 - 미국의 판례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이론실무연구 / 8권 / 2호 / 91 ~ 123페이지
    · 저자명 : 김상진, 한종범

    초록

    미국 수정헌법 제5조는 ‘정당한 법 절차에 의하지 않고, 생명, 자유 및 재산을 빼앗기지 않는다. 정당한 배상 없이 사유재산을 공공의 용도로 징수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연방 수정헌법 제14조도 ‘주 정부가 정당한 법 절차에 의한 사유재산을 취득하고, 재산권은 공민에게 평등하게 법으로 보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 밖에 개별 주(州)의 헌법도 똑같이 규정하고 있다. 통설에 의하면, 미국에서 사유재산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한다. 즉, 정당한 법률 절차(due process of law), 공평한 보상(just compensation) 및 공공의 사용(public use)이다.
    한편 새로운 주가 성립하기 전에 연방정부는 이미 토지의 권리를 현지 거주민에게 부여했다. 즉, 미국과 같은 연방제도 하에서 연방과 주 모두 주권을 가진 정부이면서도 동시에 토지에 대한 절대적 권리나 이익을 소유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수용에 관한 헌법조항은 휴면기에 있는 것 같지만 여전히 법원과 학계에 주목을 받고 있는 중이다. 미국에서는 19세기 말이 되면서 제2차 산업혁명과 도시화의 발전에 따라 정부의 수용 활동이 점점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연방도 주정부도 수용을 통해 경제를 촉진하고, 대규모 경제시설 건설 활동도 더욱 활발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반대자도 있었다. 그들은 대규모 수용이 입법권 남용으로 내몰고 있다고 하였기 때문에 재산권을 강제로 이전하는 행위를 엄격히 심사할 필요가 있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 그러나 법원에 그 심사권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계속되고 있었다. 미국의 법학자들은 여러 차례 17세기 대륙의 자연법학자, 예를 들면 Hugo Grotius와 Samuel Pufendorf의 고전적 저작에서 답을 구하고 있었지만, ‘공공의 용도’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지 못했다. 수용권 남용을 막기 위해, 법원과 법학자는 수용권의 행사에 대해 ‘공공의 목적’이라는 제한을 가하면서도 ‘공공의 목적’의 개념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대해 논쟁중이다. 문제는 오늘날까지 통일적인 견해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미국의 토지수용을 둘러싼 법적 논쟁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Fifth Amendment (Amendment V)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ddresses that “No person shall be deprived of life, liberty, or property, without due process of law; nor be obliged to relinquish his property, where it may be necessary for public use, without just compensation.” The Fourteenth Amendment (Amendment XIV)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lso provide that “no shall any State deprive any person of life, liberty, or property, without due process of law; nor deny to any person within its jurisdiction the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The same applies to the constitutions of individual states. The majority opinion is that in the United States, three conditions must be met to takings private property. That is, due process of law, just compensation and public use.
    Meanwhile, before the new state was established, the federal government had already granted land rights to original local residents. In other words, under federal systems such as the United States, both the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are sovereign and do not possess absolute rights or interests in land.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n expropriation appear to be dormant but are still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courts and academia. In the United State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government condemnation activities appeared more and more frequently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and urbanization. The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were also accepting to promote the economy, and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economic facilities was becoming more active. But there were opponents. They insisted that large-scale eminent domain led to legislative abuse, and that it was necessary to strictly examine the act of forcibly transferring property rights. But there has been a long debate about whether the court has the right to examine. American jurists have sought answers in the classic writings of natural law scholars of the seventeenth-century continent, such as Hugo Grotius and Samuel Pufendorf, but have not concluded the question of what ‘public use’ is. To prevent abuse of state condemnation power, courts and jurists are debating how to establish the concept of ‘public purpose’ while limiting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expropriation. The problem has not reached a unified view to this day. This article reviews the legal controversies surrounding US real estate tak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이론실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