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위조작정보 규제의 헌법적 한계 — 언론중재법 개정안(대안) 및 5・18민주화운동특별법을 중심으로 — (Constitutional Limis on the Legislative Efforts to Regulate Disinformation or Fake News — Focusing on the Revised Bill of the Media Arbitration Act and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Special Act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1.12
41P 미리보기
허위조작정보 규제의 헌법적 한계 — 언론중재법 개정안(대안) 및 5・18민주화운동특별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언론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법 / 20권 / 3호 / 223 ~ 263페이지
    · 저자명 : 이인호, 이준형

    초록

    디지털 정보기술로 인해 모든 개인이 각자의 미디어를 가지고 정보의 생산자가 되면서 과거에 생각하지 못했던 엄청난 정보의 생산과 유통이 폭발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실로 언론・출판의 자유가 만개(滿開)하고 있다. 누구든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자신만의 개인미디어를 가지고 글로, 그래픽으로, 사진으로, 영상으로 쉽고 빠르게 대중을 상대로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들 정보 중에는 진실된 정보도 있고 거짓된 정보도 있으며, 가치 있는 유익(有益)한 정보도 있고 가치가 없거나 유해(有害)한 정보도 있으며, 없는 사실을 꾸며낸 조작한 정보도 있다. 최근의 인공지능(AI) 기술(Deep Fake)은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구별할 수 없는 가짜정보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런 새로운 정보환경에서 개인은 허위의 정보 혹은 조작한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할 헌법상의 자유가 헌법 제21조의 언론・출판의 자유에 의해 보장되는 것일까? 정부는 허위의 혹은 조작한 정보가 헌법이나 법률이 보호하는 다른 개인의 법익이나 권리를 위법하게 침해하지 않는 경우에도 누군가에게 또는 사회적으로 유해할 것이라는 혹은 피해를 줄 것이라는 예상만으로 이들 정보의 생산과 유통을 금지하거나 억제할 권한이 있는 것일까? 이 글은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른바 가짜뉴스(fake news) 혹은 허위조작정보(disinformation)를 직접 규제하려는 최근 한국의 입법적 시도, 특히 언론중재법 개정법률안(대안) 및 5・18민주화운동특별법 개정법률에 대해 그동안 헌법학에서 형성되어 온 언론자유의 법리에 기초해서 이들 법률을 비판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 것이다.
    한국의 입법적 대응은 언론자유의 헌법적 가치를 깊이 고민하지 않은 채 너무 거칠고 섣부르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무엇보다, 허위조작정보의 위법성 판단에 있어 구체적인 법익이나 권리 침해를 요건으로 설정하지 않은 채 그저 허위조작정보 그 자체를 위법한(illegal) 것으로 규정한다는 점이 문제이다. 특히 언론중재법 개정안(대안)은 자유언론의 민주국가에서 함부로 사용할 수 없는 ‘언론개혁’이라는 이름 하에 언론사의 ‘언론보도’를 직접 겨냥하고 있다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언론중재법 개정안(대안)이 새로이 도입하고 있는 허위・조작보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가 어떤 헌법적 문제를 안고 있는지 분석해 본다(Ⅱ). 이어서, 언론중재법 개정안(대안)이 역시 새로이 도입한 언론기사에 대한 열람차단청구권이 가진 헌법적 문제를 짚어 본다(Ⅲ). 마지막으로 5・18민주화운동특별법에서 새로이 신설된 ‘5・18민주화운동 허위사실유포죄’의 위헌성을 분석한다(Ⅳ).

    영어초록

    Due to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as all individuals become producers of information with their own media,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enormous information is exploding. Indeed, the freedom of speech and press is in full bloom. Anyone can easily and quickly convey their thoughts and opinions to the public in writing, graphics, photos, and videos with their own personal media. Among their information, there are true information, false information, valuable information, worthless or harmful information, and manipulated disinformation. Rece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akes it easy to create fake information that cannot distinguish whether it is real or fake.
    In this new information environment, is the constitutional freedom for individuals to produce and distribute false information or fabricated information guaranteed by the freedom of speech and press under Article 21 of the Korean Constitution? May the government have the authority to prohibit or curb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false or fabricated information only in the expectation that it will harm anyone or society, even if it is not illegal or does not infringe upon the legal interests or rights of other individual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or laws? The article starts with this problem awareness and aims to critically analyze Korea's recent legislative attempts to directly regulate so-called fake news or disinformation, especially the revised bill (alternative) of the Media Arbitration Act and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Special Act.
    The recent Korea's legislative response gives the impression that it is too harsh and hasty without deeply considering the constitutional value of the freedom of report. Above all, the problem is that in judging the illegality of false or fabricated information, it simply defines such information as illegal without setting the infringement of specific legal interests or rights as a requirement. In particular, the bigger problem is that the revised bill (alternative) of the Media Arbitration Act directly targets the reports of news media under the name of ‘media reform’.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what constitutional problems the punitive damages system for false or fabricated reports has. Subsequently, we examine the constitutional problems for the right to block general access to media articles. Finally, we analyze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newly established “Crime of Spreading False Facts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론과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