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계약법상의 무효법리 (An Analysis of Void Contracts and Unenforceable Contracts in the U.S. Contract Law: Focusing on the Restatement 2d Contracts and Case Law)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3.05
22P 미리보기
미국 계약법상의 무효법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0권 / 1호 / 57 ~ 78페이지
    · 저자명 : 진도왕

    초록

    미국 계약법은 소송에서 강제할 수 있는 계약과 그렇지 않은 계약에 주목하여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특징은 미국 계약법 리스테이트먼트상의 계약의 정의에 잘 반영되어 있다. 즉, 계약이란 그 위반 시에 법적 구제수단을 확보할 수 있거나 그 이행의 의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로써 미국 계약법에서는 당해 계약이 소송상 강제 가능한 것인지 여부만을 유의미하게 다루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이러한 미국 계약법의 태도는 실제 분쟁에서 당해 계약을 강제시킬 수 있는지 아니면 강제시킬 수 없는지의 최종 결론에만 치중한 나머지, 그 결론에 도달하기까지의 중간 과정으로서 무효의 개념적 표지를 확인하는 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실제로 미국 법원들은 문제가 된 계약의 성질을 파악함에 있어서 무효라는 표현을 통해 설명하기 보다는 강제시킬 수 없다는 표현으로 그 판단의 결과를 선언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그러한 결론에 이르는 과정 속에는 무효의 개념이나 효과가 내포되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전반적으로는 무효와 강제불가능성을 명확한 구분 없이 혼용하고 있고, 실제 법률효과도 구체적 사안마다 달리하여 일률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 다만, 캘리포니아주 민사법과 판례들을 통해 어느 정도 일관적이고 통일된 무효의 개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효인 계약은 추인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나 계약 일부의 무효는 그 계약 전체를 무효로 만든다는 점 등은 우리법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캘리포니아주 계약법도 여느 다른 주의 계약법과 마찬가지로 당해 계약에 무효의 원인이 존재하더라도 그것은 절차법, 즉 소송에서 작동되어야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는 점은 실체법 중심의 우리 무효법리와는 크게 다른 점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미국 캘리포니아주 판례를 통해 확인하였듯이, 그러한 절차법적 측면에서 조차도 무효인 계약은 그 무효 사유에 대한 당사자의 주장이 없다고 하더라도 당해 소송이 어느 단계까지 진행되었는지를 불문하고 법원이나 당사자에 의해 언제든지 항변사유로 제기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무효 개념은 어디까지나 캘리포니아주 계약법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어서 미국 계약법상의 일반적 개념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U.S. contract law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Roman law tradition. This can be inferred from that the U.S. contract law mainly focuses on whether to enforce contracts. Indeed, the Restatement 2d Contract defines contracts as a promise or set of promises for the breach of which the law gives a remedy or the performance of which the law, in some way, recognize a duty. Of course, the Restatement classifies contracts into three types as to validity. First, a void contract is one that is totally without any legal effect from the beginning. In this case, the void contract cannot be enforced by either party. Second, a voidable contract is one that one or both parties may elect to avoid. For example, it could be avoided by raising a defense that makes it voidable, such as infancy or mental illness. While void contracts cannot be enforced, an aggrieved party may elect to enforce a voidable contract. Third, an unenforceable contract is an agreement that is otherwise valid but which may not be enforceable due to a defense extraneous to contract formation, such as the Statute of Fraud or the statute of limitation. Nevertheless, the U.S. courts are not likely to distinguish void contracts from unenforceable contracts in a real case. Thus, the U.S. contract law places too much emphasis on the end result of whether to enforce the contract. This stance makes it hard to recognize how the courts reach the conclusion.
    However, the Civil Code of California, a collection of statutes for the State of California, see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a void contract and distinguish it from a voidable contracts or an unenforceable contract. For example, a void contract cannot be subject to ratification and a partial invalidation makes the entire contract void. Though the Code is organized in a similar manner to many civil law civil codes, however, many of its provisions are codifications of well-established common law principles. Thus, like any other states’ contract law in the U.S., the California contract law also focuses on whether to enforce contra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