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년법의 연령과 형사책임 (The Age in Juvenile Act and Criminal Responsibi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6.12
38P 미리보기
소년법의 연령과 형사책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정책 / 28권 / 3호 / 35 ~ 72페이지
    · 저자명 : 김혁

    초록

    소년법 제1조는 “이 법은 …… 소년이 건전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히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소년보호 또는 육성을 강조하는 소년보호이념을 선언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소년보호이념의 구체적 의미에 관해서는, 소년법뿐만 아니라 아동‧청소년 관련 법률을 관통하는 기본이념으로 보는 견해도 있는 등 여러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누구를 「소년보호」의 대상으로 할 것인지, 특히 그중에서도 연령에 관한 문제는 이견이 없는 소년법의 핵심과제라고 할 수 있다. 소년법의 존재의의는 성인과 달리 아직 성장과정 중에 있는 소년의 연령적 특성을 고려한 데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소년의 연령설정 및 기준에 관한 문제는 저연령자를 왜 성인과 다르게 취급해야 하는지에 관한 과학적‧규범적 검토를 통해 비로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연령별 특성에 대한 과학적 검토 역시 연령문제의 고찰에 있어 매우 중요하나, 지면과 연구자의 역량의 한계로 본고의 검토 대상에서는 제외하기로 한다.
    그 중에서 규범적 검토에 있어서는 소년법과 형사법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소년법은 「보호」의 대상을 반사회성이 있는 소년, 즉 범죄와 관련성이 있는 소년으로 한정하고 있고(제4조 제1항), 물론 우범소년의 경우 범죄 내지 형벌법령에 저촉된 행위를 한 자가 아니긴 하나, 우범행위와 장래의 범죄 또는 촉법행위의 우려를 근거로 개입이 이루어지므로(소년법 제4조 제1항 제3호) 범죄와 완전히 무관한 자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법원의 판단을 통해 부과되는 보호처분과 형벌이라는 제재를 통해 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년보호」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파악하든 이러한 현행법의 구조를 감안할 때, 피의자 및 피고인의 인권보장을 위해 마련된 형사제재의 부과원리로서 헌법 및 형사법의 기본원리를 도외시한 「소년보호」를 구성할 수는 없다.
    한편, 형법은 연령과 관련하여 14세를 기준으로 책임능력의 유무를 일률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반면(제9조), 소년법은 이와는 별도로 소년의 연령을 규정하여 개입의 범위를 확장하거나 그 정도를 완화하고 있다. 소년법이 범죄와 관련된 저연령자를 대상으로 하고, 형법 및 형사소송법에 우선하여 적용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형법과 소년법 간의 상이성 내지 보충성은 소년의 형사책임과 연령이라는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관한 규명 없이는 형법과 소년법의 위치정립이 명확히 될 수 없고, 소년법상의 연령 관련 규정의 해석에 있어서도 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연령에 관한 논의는 주로 형사책임연령의 인하문제에 집중되어 왔을 뿐, 책임능력의 관점에서 형법과 소년법의 체계적 해석을 염두에 둔 검토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확언할 수는 없지만 아마도 대다수의 연구자들이 소년법의 독자성 내지 차별성에 보다 주목하였거나, 형사법과의 관련성을 중시하더라도 소년에 대한 형사책임의 강조가 자칫 엄벌주의로 연결될 수 있다는 부담감이 그러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하지만 소년의 형사책임과 연령에 관한 규명은 소년에 대한 책임추궁 내지 엄벌화와는 궤를 달리하는 문제로서, 관련 논의를 터부시해서는 소년법의 정체성 및 존재의의에 관한 의문을 증폭시킬 뿐이다. 소년법상의 연령과 형사책임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검토는 소년법과 형사법의 공통원리를 추출함으로써 소년보호절차 및 소년형사절차에서 소년의 인권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연령 관련 조문의 합리적 해석을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논의의 전제로서 '소년법의 연령규정과 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통해 소년법상 연령관련 규정현황과 그 취지에 관한 논의상황을 개관한 후, '형사책임연령과 소년연령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및 연혁적 고찰’에서는 형사책임연령과 소년연령에 관한 종‧횡단적 검토를 시도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책임주의와 소년보호이념의 내재적 연관성’에서는 소년 연령제도가 형사정책적 차원에서 책임능력제도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논증함으로써 책임주의와 소년보호이념의 내재적 연관성을 명확히 한 후에, ‘소년법상 연령 해석과 제언’을 통해 소년의 보호사건과 형사사건에 있어서의 연령기준에 관한 해석론을 제시하고 입법론적 제언을 하면서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juvenile protection in the current Juvenile Act applies not only to juvenile protection cases but also to juvenile criminal cases, and the juvenile justice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s of criminal responsibility ag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juvenile protection ideology, which forms the basis of the Juvenile Act, has a nature that can not be discussed separately from the criminal responsibility.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measures for juvenile protection are criminal sanctions that restrict the basic rights of juveniles. Therefore, it is natural to think about the age problem of the Juvenile Act in connection with the problem of criminal responsibility, and through such a process, it becomes possible to understand rationally the various age regulations prescribed in Juvenile Act.
    In the protection cases, if the protective detention is introduced to improve rehabilitation of the age group with incomplete responsibility, it is logical whether a juvenile is the object of protective detention or not should be based on the age at the time of act as in the Criminal Act. In the criminal cases, for the same reason, the age standard of the indeterminate sentence and reduction of punishment should be judged by the time of act.
    The attempt to harmonize the juvenile and criminal laws in terms of criminal responsibility is not merely a slogan of the Juvenile Act aiming at healthy growth of the juveniles, but rather a way to refrain from excessive state intervention and guarantee the juveniles’ procedural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