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 (Natural Law Theory and the Concept of Natural Righ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3.04
38P 미리보기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철학연구 / 26권 / 1호 / 155 ~ 192페이지
    · 저자명 : 하재홍

    초록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의 관계는 논란이 많은 주제이다. 흔히 자연법이론의 전통은 고래 그리스까지 소급하지만, 자연권 개념은 근대 시민 혁명의 산물로 여긴다. 자연법 이론가 중에도 자연권 개념을 근대 이후의 산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반대 견해도 있다. 근대 이전에도 자연권 개념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견해는 다시 아퀴나스와 오캄의 해석을 두고 의견이 나뉜다.
    오캄이 개인의 주관적 권리를 절대화했으며 근대적 자연권 개념의 기원이라 보는 견해가 있지만, 국내 법학계에서는 오캄이 자연법을 부정했고 그것이 유명론의 귀결이라 보는 것이 통념이다. 아퀴나스에 자연권 또는 권리 개념이 있었는가도 논란이 있는데, 빌리는 부정하지만 피니스는 긍정한다. 본 논문은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의 관계에서 제기된 몇 가지 문제를 검토했다. 첫째, 자연법이론의 전통이 자연권과 관계되는 측면인데, 빌리의 자연법적 사고는 근대의권리 중심 접근법을 정당하게 비판한다고 보았다. 둘째, 오캄에 대한 이해인데, 오캄이 자연법을 부정했으며 그것이 그의 유명론의 귀결이라고 보는 국내 학계의 통념을 비판하고 오캄의 자연권 개념에 대해 정밀한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셋째, 아퀴나스와 자연권 개념에 대해 피니스가 ‘ius’를 권리와 동의어로해석하고 양자를 치환할 수 있다고 본 것과 관련된 논쟁에 대해 자연법적 질서를 매개로 양자는 결국 원리에서 상통하며 같은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영어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aws and natural rights has many controversial subjects. While the tradition of natural law theory originated in ancient Greece, they usually consider the concept of natural rights the product of the modern civil-political revolutions. Among the researchers on natural law theory, some assume that natural right is a product of the political Revolutions of the 17th and 18th century. The medieval historians who agreed on natural rights before the modern Revolutions are divided again over the interpretation of William of Ockham and St. Thomas Aquinas. Some assert that Ockham has a subjective concept of rights, and studies of natural law in jurisprudence widely accept that Ockham discarded natural law and natural law theory. Whether St. Aquinas used modernized natural rights is controversial too. M. Villey denies it, but J.
    Finnis affirms in some conditions. This article discusses issu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aw and natural rights. Firstly, this article asserted that M. Villey’s natural law reasoning rightly criticizes the subjective rights-centered approach of lawyers nowadays. Secondly, it reviewe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at William of Ockham denied natural law theory and traditions and argued for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William of Ockham and his natural rights. Thirdly, it argued that Finnis was wrong in interpreting ius as synonymous with rights and understanding both as interchangeable in St. Thomas Aquinas’s writings, but because by a notion of the natural order, ius and rights are common in principles and pursue the same purpose and in that case, it accepted Finnis’s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