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EU 경제법상 비례의 원칙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EU Economic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3.11
27P 미리보기
EU 경제법상 비례의 원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4권 / 4호 / 59 ~ 85페이지
    · 저자명 : 김세환

    초록

    유럽연합조약(TEU) 제5조 제4항은 “비례의 원칙하에 연합 행위의 내용과 형식은 조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초과하지 못한다. 연합의 기관은 보충성 및 비례의 원칙의 적용에 관한 의정서에 규정된 비례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명시적으로 비례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약의 규정들과 비례의 원칙은 비록 독일법에서 왔지만 독일법의 비례의 원칙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며, 우리 헌법상의 비례의 원칙과도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기본권 제한의 한계로서 비례의 원칙을 적용하고 있는 반면에 유럽연합법원은 EU 기관의 과도한 조치에 대해 개인과 회원국의 권리를 보호하는 원리로서 뿐만 아니라, EU 통합이라는 대원칙하에서 입법행위와 정책 결정 등 EU 기관의 모든 행위들을 평가하기 위한 독자적인 일반원칙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EU법상 비례성 원칙의 심사구조에 있어서 필요성 심사는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청구인의 3단계 심사에 대한 주장이 있어야 법원은 3단계 심사를 개시하며 이러한 청구인의 주장이 없으면 2단계에서 비례성 심사가 완료되기도 하고, 어떠한 경우에는 3단계 심사를 1단계 또는 2단계 심사구조에 포함시키기도 하기 때문이다. 유럽연합법원의 판결에서 나타난 비례의 원칙이 몇 개의 하위 원칙으로 나누어지느냐에 대해서는 견해의 차이가 있지만, 사실 이러한 견해의 대립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유럽연합법원이 경제법 영역에서 EU법의 우위성과 직접효 원칙 및 EU 기관의 행위의 정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비례의 원칙을 어떻게 적용해왔느냐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법원은 그 비례성 심사에서 회원국의 조치에 대해서는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그 조치가 가장 최소한의 피해를 주는 조치라는 입증책임을 회원국에게 부담시키고 있으나 EU 기관의 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에서는 이러한 입증책임을 EU 기관에게 부담시키지 않고 있다. 또한 반덤핑법 분야에서도 EU 기관의 반덤핑조치가 정당하지 않음을 청구인에게 그 입증책임을 부담시킴으로써 동일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이것은 유럽연합법원은 개인의 기본적 권리에 대한 제한조치의 경우와는 달리 경제법적 영역에서는 시장의 통합이라는 가치에 우선적인 비중을 두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Proportionality is now well established as a general principle of EU law. The principle is enshrined in Atticle 5(4) TEU, which provides the content and form of Union action shall not go beyond what is necessary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Treaty. The institutions of the Union shall appl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lity as laid down in the Protocol o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subsidiarity and proportionality. This principle comes from the German law, but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German law and that of Korean law. The reason why is that whereas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has applied this principle as a limit of fundamental right's restraint, sometimes Court of Justice of EU has used as a instrument to protect indivisual rights and member states' rights against the EU instituion's excessive measure, sometimes it has used as a independent general principle of law to assess all the action and policy decision of EU institutions under the objective of EU's unification.
    The necessity test is very important in the structure of proportionality test. Because the Court considers subpart three when an applicant addresses an argument concerning this stage of the inquiry, sometimes the case can be resolved at two stage. Moreover the Court may fold stage three of the inquiry back into stage one or two.
    There has been a argument on how many subpart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divided. But in fact, it is more important how the Court of Justice of EU has use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o justify the action of EU institutions. The Court has put the burden of proof on the member state or the indivisual in the sphere of the economic law, on the other hand the Court has not put it on the EU institutions. This is also in sphere of the Anti Dumping law of EU. This reflects that Court of Justice of EU puts much importance on market integration in the sphere of the Economic law, specially of the Anti Dumping law of E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