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대규모유통업법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판매장려금 문제를 중심으로 - (The Legal Issues involving the Implementations of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Retailers - The Provisions on the Sales Incentive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3.09
34P 미리보기
최근 대규모유통업법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판매장려금 문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쟁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쟁법연구 / 48권 / 84 ~ 117페이지
    · 저자명 : 최요섭

    초록

    공정거래법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특례법인 대규모유통업법은 유통 분야에서의특정 거래행위를 규율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특히, 대규모유통업법은 준당연위법과 유사한 행태적 접근방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대규모유통업법의 도입 당시에 예상하지 못했던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 중심의 유통 환경 변화를 고려하면, 현재의 대규모유통업법의 규제내용은 비효율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대규모유통업법상 ‘거래상 우월적 지위’ 및 ‘판매장려금’과 관련된 실체규정이 과도하고 엄격하게 해석되고 있어 실제 유통 환경이나 실무와는 거리가 있다. 예를 들어,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규율하는 하도급법이나 가맹사업법의 경우에는 거래당사자사이에서의 갑을관계가 비교적 명확하며 ‘거래에서의 약자보호’라는 정책적 측면에서의미가 있다. 하지만 유통업의 경우에는 온라인 거래의 등장으로 유통업자들의 성장이나 사업의 내용 혹은 행태가 다른 경우가 많고, 납품업자들의 규모도 다양하여 갑을관계를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해, 기존 대규모유통업자들이 과거에는 우월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의 온라인 기반의 유통 환경에서는 예전과 같은 시장력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무엇보다, 판매장려금의 금지는 경쟁제한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납품업자는 상품을 공급할 때 판매에 유리한 진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한다. 새로운 상품의 경우 판매부진의 리스크 때문에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 간에 협의가필요하다. 특히, 제품이 새로 출시되거나 프로모션이 필요하면 유통업자가 판매의 리스크를 상쇄하기 위해 판매장려금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장에서 가격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판촉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판촉활동을 위한 판매장려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금지되는 판매장려금의 내용과 범위을 축소하고 정당한 사유의 내용과 기준을 확대하여 소비자후생 및 경쟁증진에 긍정적 효과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법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은 대규모유통업법상 거래상 우월적 지위와 판매장려금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여, 디지털 경제에서의 유통에 적합한 규율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어초록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the Large Retail Business’ was adopted in order to ensure fair transactions between large retailers and suppliers. In particular, certain substantive provisions within the Act have been implemented in a way of quasi-per se illegal as the most of the provisions are very formalistic.
    However, the evolution of e-commerce has brought various legal issues involving large retail businesses as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since the Act was adopted. In effect, there are some critical issues relating to the provisions on ‘superior bargaining power’ and ‘sales incentives’.
    Dissimilar to the provisions of other types of fair transaction acts, the scope of the Act is very wide as the substantive rules can be broadly applicable to retailers even if they do not hold any monopsony power in the market.
    Furthermore,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has brought effective competition in the distribution level, which has resolved the problem of monopsony power.
    The Act prohibits retailers’ practices of sales incentives that are a kind of rebates in distribution. Nevertheless, there are some reasons for having the practices of sales incentives, especially when suppliers try to introduce new products and to promote certain goods in the market. When the enforcement agency does not consider the reality of market competition, it is possible that the existing provisions of the Act can impede competition and harm consumer welfare as a whole.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proposals for the amendment to the Act, particularly regarding the provisions of superior bargaining power and sales incentiv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verse forms of competition in the distribution ecosystems, including inter-ecosystem competition, horizontal intra-ecosystem competition and vertical intra-ecosystem competition. It is timely to discuss complex competition in the distribution ecosystem, which can help improving meaningful competition policy on large distribution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쟁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