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적 위험에 관한 실천이론적 접근 —법현실과 대법원 판례 분석— (An Approach of Practical Theory on Legal Risks — Two Analyses on Judicial Reality and a Supreme Court Precedent —)

8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1.12
80P 미리보기
법적 위험에 관한 실천이론적 접근 —법현실과 대법원 판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철학연구 / 24권 / 3호 / 215 ~ 294페이지
    · 저자명 : 안성준

    초록

    법학자 내지 법실무가의 관심 문제는 필수적으로 언어라는 통로를 통해서 표출된다. 한편 현대 사회에 고도로 분화된 체계에서 불확정성이 증가하고, 합리성을 내세운 사회적 요구도 과잉된다. 기존에 익숙했던 법도그마틱이 균열되고, 새로운 법현상이 과잉생산 된 법에 의하여 거칠게 처리되며, 사안 처리의 수준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법의 실정화의 불완전성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법관법의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된다. 위험의 증가에 따른 법의 불명확성과 공백 위험, 법의 자의적 처리, 상세화된 법에 대한 불가피하고 합리적인 부지 등은 법언어의 규범력 저하로 나타나고, 이는 해결하기 어려운 현대 사회의 과제 중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현대 법적 위험에 관한 문제를 사회학과 언어학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표적 실천이론에 비추어 살펴본다. 우선 언어와 권력의 작동과 관련하여 부르디외는 담론이 효력을 갖기 위한 사회-정치적 조건들에 관심을 두었다. 언어의 권력은 대변인에게 위임된 권력으로 그 지배권력을 대표하고, 발화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발언의 효력이 정해진다. 다른 사회체제와 마찬가지로 사법의 작용에 있어 상징체계에 의하여 객관적으로 합의된 세계를 형성하는 것처럼 보이고 헌법적 원리가 보장되고 있지만, 사실은 상징적 효력을 작동시키는 상징권력에 의한 지배를 은밀하게 받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징권력과 권위 부여는 암묵적 인정 내지 오인이 깨지는 곳에서는 더 이상 전제될 수 없다. 다음으로 브랜덤이 주장한 추론주의, 언어와 개념의 관계, 실용주의로서 표현주의, 실질적 추론과 논리의 관계, 추론적 명료화 이론, 그리고 규범적 화용론, 의무론적 점수 매기기 모델 등을 살펴본다. 브랜덤은 사회적 실천을 통하여 형성되는 명제적으로 내용이 풍부한 개념과 언어 사용의 규범화 과정을 해명하려고 시도한다. 브랜덤의 이론을 도구 삼아 법률가의 법언어를 담은 실천적 주장에 대한 논증 과정이나 그 결론의 적절성과 규범성을 사회적인 실천으로서 점수 매기기의 방식으로 귀납적으로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천이론의 관점에서 두 학자의 이론, 예를 들어 암묵적으로 명시화되는 주장과 논리와 실천의 관계에 관한 브랜덤의 이론과 특별한 양식이나 의식에 기하지 않고 암묵적으로 형성되는 실천적 결과에 관한 브르디외의 이론 사이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해 본다.
    마지막으로 이 학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판례를 분석해보고, 우리 법현실을 점검해보면서 법률가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법언어의 사용이 어떤 것인지에 관하여 3가지 개인적인 의견을 개진하기로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included in the core issues of jurists or legal practitioners who are necessarily expressed via language. In modern society with highly differentiated systems, uncertainty tends to be increased and social demands with rationality are excessive. Used legal dogmatics are cracked, new legal phenomena are treated harshly by over-produced laws, and the quality of treated cases is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incompleteness of the legal positiveness gradually increases, the importance of the judge-made law is newly emerging. Due to the increase of social risk, the uncertainty and emptiness of legal codes, the arbitrary treatment in the legal dispute, and the inevitable and reasonable unawareness for detailed laws cause of the decrease in the normative power of the legal language, which is one of the challenges of modern society that is difficult to solve.
    This article observes the issues of modern society’s legal risk in the light of representative practical theorie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in sociology and linguistics. First,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language and power, Bourdieu interests in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for discourse to take effect. The power of language is the power delegated to the spokesperson and represents the dominant power, and the effect of spee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of the speaker. Like other social systems, the court system also seems to form an objectively agreed world by the symbolic system and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is guaranteed of the system, but in fact, it is secretly dominated by the symbolic power that operates the symbolic effect. However, such symbolic power and authority can no longer be assumed where implicit recognition or misunderstanding is broken. Next, we studies inferentialism, the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ncepts, expressionism as pragmatism, the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reasoning and logic, inferential articulation theory, normative pragmatic theory, deontic score-keeping model, etc as argued by Brandom. Brandom attempts to elucidate the propositionally contentful concept and the normative process of language use through social practices. Using Brandom's theory as a tool, it will be possible to inductively infer the argumentation process of the practical arguments containing the legal language of the lawyer, or the appropriateness and normativity of the conclusion by scoring it as a social practices.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practice theory, we try to comp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heories between the two scholars, especially Brandom's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c and practice as well as implicitly explicit claims and Bourdieu’s theory about practical outcomes that are implicitly formed without any special style or consciousness.
    Lastly, based on the theories of these scholars, I analyze a precedent, examine the reality of law, and present three personal opinions on the desirable use of legal language from a lawyer's point of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