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읽기와 법해석 (Reading and legal interpret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2.06
34P 미리보기
읽기와 법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법률논총 / 11권 / 2호 / 71 ~ 104페이지
    · 저자명 : 오민용

    초록

    법철학이나 법이론 또는 실무에서 법해석의 문제는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지만, 법해석의 출발점인 읽기에 대해서는 전혀 다루어져지지 않았다. 읽기는 입법부터 법집행, 사법심사 및 재판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수행이다. 그러나 ‘읽기’는 이와 같은 행위에 당연히 종속되어 있는 의미 없는 전제로 취급되어져 왔다. ‘읽기’는 이제까지 법해석에서 당연히 수반되는 당연한 것 또는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읽기’ 그 자체가 무엇이며, 그것이 법해석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관심은저조했다. 읽기는 법해석에 종속된 비독자적인 행위일까? 아니면 읽기와 법해석의 관계는 무엇일까? 본 글은 ‘읽기’가 텍스트의 의미를 그대로 재현한다는 근대적 사고를거부하고, 법해석이라는 법학의 성과물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동시에 읽기는 법해석과독립된 행위로 주장한다. 이 독립된 ‘읽기’를 데리다의 이론을 전유해서 구체화한다.
    본 글은 이 문제를 데리다의 철학을 통해서 돌파하고, 읽기와 법해석이 가진 관계를도출해 낸다. 이를 위해서 본 글은 Ⅱ.데리다의 텍스트 철학, Ⅲ. 은유 철학, Ⅵ. 해체와 법해석으로 구성된다. 이 과정을 통해서 두 가지의 함의를 도출해 낸다. 첫째, 법해석에서 당연히 여기는 본질적 의미나 구문에 대한 믿음의 허위임을 밝혀준다. 둘째, 화용론적 이해는 완벽하지 않음을 밝혀준다. 따라서 객관주의, 주관주의 및 절차주의라는 법해석의 기본입장과 포섭과 형량과 법해석의 기본양식은 데리다의 읽기철학, 특별히 텍스트와 책의 구분, 읽기와 지진, 글쓰기, 놀이, 차연, 은유, 남유를 통해서 보충될 때만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oblem of legal interpretation has been important in legal philosophy, legal theory, or practice, but it has not been dealt with at all about ‘read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law. Reading is a key performance that penetrates all processes, from legislative to law enforcement, judicial examination and trial. However, ‘reading’ has been treated as a meaningless premise that is naturally subordinate to such an act. ‘Reading’ has been considered a natural or incidental thing involved in the law. The interest in what was ‘reading’ itself and how it connected to the law was low. Is it a non -ready act of reading? Or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law interpretation? This article rejects modern thinking that ‘reading’ reproduces the meaning of the text, and accepts the achievements of the law of law interpret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reading is claimed to be an independent act and an independent act. This independent “reading” is embodied by Derrida's theory. This article breaks through this problem through Derrida's philosophy and der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law. To this purpose, this article consists of Derrida's Ⅱ. text philosophy, Ⅲ. metaphor philosophy, Ⅵ. deconstruction and legal interpretation. This process derives two implications. First, it reveals that it is a false of faith in the essential meaning or phrase that is naturally seen in the law. Second, it reveals that the useful understanding is not perfect. Therefore, the basic stance of the law of objective, subjectism and proceduralism, and the basic style of inclusion, sentence, and the basic style of the law, Derrida's reading philosophy, specially distinguished text and book, reading and earthquake, writing, play, difference, metaphor, catachresis only when it is supplemented through it, it can be fully achie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법률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