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력범죄예방을 위한 경찰활동의 쟁점 분석 (The Violent Crime Prevention: Its Implications and Issu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09.09
30P 미리보기
강력범죄예방을 위한 경찰활동의 쟁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18권 / 3호 / 167 ~ 196페이지
    · 저자명 : 이성용

    초록

    경찰은 범죄수사만을 전담하고 있는 여타의 형사사법기관과는 달리 범죄의 예방과 진압을 함께 담당하고 있는 조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행정경찰과 사법경찰의 기능을 구분할 수 있으며, 행정경찰작용의 경우 검사의 지휘가 이루어질 수 없고, 그 국가적 작용에 있어서 편의주의의 원칙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사법경찰작용과 구분되어야 한다. 물론 현실의 상황에서는 위험의 방지・제거와 범죄수사라는 양자의 기능이 중첩되어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중점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경찰작용의 성격이 규명되어야 한다. 현재 경찰과 검찰에서는 각기 다른 강력범죄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학술적 관점에서 강력범죄의 개념을 보다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실무적 차원에서 형사정책적 관리가 필요한 특정 강력범죄의 범주를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최소한 형사사법기관간의 용어사용의 통일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강력범죄예방을 위한 다양한 경찰전략에 있어서 지적될 수 있는 몇가지 문제점으로는 첫째 형식적인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지양하고, 지역에서 소외되기 쉬운 집단들의 참여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범죄예방을 위한 CCTV활용에 있어서 통합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수집된 정보의 관리를 보다 엄격히 통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는 우범자관리의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고, 법무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자발찌를 통한 범죄자관리제도와의 연계를 검토해야 한다. 넷째, 아직까지 순찰이나 거점근무의 효율성에 관한 체계적인 국내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막연한 경찰인력의 증가나 관서확충만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순찰과 거점근무의 효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근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범죄예방활동을 개선하기 위한 세가지를 제안하고 있는데, 먼저 수사경찰의 인식전환이다. 범죄예방이 생활안전부서 경찰만이 담당하는 업무가 아닌 수사경찰을 비롯하여 모든 경찰관들이 수행해야 할 기본적인 임무임을 주지하고 사후적 범죄진압이나 범인검거보다 범죄예방활동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적 대범죄활동에 있어서 예방적 범죄투쟁의 주체인 경찰과 형사사법 활동의 주재자인 검찰은 대등한 당사자의 입장에서 효율적인 범죄에방과 진압을 위한 파트너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효성있는 경찰의 범죄예방을 위해서 구체적인 범죄혐의의 명백성이 입증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범죄예방과 위험방지를 위해 필요한 경우, 경찰권을 발동할 수 있도록 법제도의 개선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Unlike other criminal judicial agency, the police organization takes charge
    of the crime prevention and the criminal investigation together. The function
    of police organization sh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administrative police, and the second is judicial police. This division casts
    a long shadow to us, because the former finds legal basis from police
    administrative law, and the latter enforces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case police has to do these duties simultaneously, the character of the police
    enforcement depends on where the prime purpose is.
    The major problem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the so-called violent
    crime is that police and prosecution use this term differently,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duty in term of crime fight and must cooperate in this
    work. It is desired that the term of the violent crime would be defined
    comprehensively from academic aspect and the different usage of this term
    through law enforcement agencies is unified .
    Germane to police strategies against the violent crime, following advices
    could be proposed. Firstly, instead of concentrating on superficial community
    policing, more access to participation in polic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
    residents who feel they are being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of society.
    Secondl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has to be adopted for the
    effective usage of CCTV for crime prevention and tighter legal controls over
    the kinds of personal data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can collect is
    required. Thirdly, the legal basis for the surveillance of criminals who are
    liable to commit crime is established because of its great risk of violation of human rights.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is surveillance is
    integrated with the electronic tag mandatory for sex offenders. Fourthly,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police patrol and police control
    at the designated point is needed.
    In view of a long-term perspective, three advices for paradigm shift are
    proposed. Firstly, the importance of crime prevention, especially for crime
    investigators should be emphasized. Secondly, sure, it is given, that the
    police is an assistant organization of prosecution by crime investigation, but
    in terms of crime fight the police is an evenly balanced partner of
    prosecution. finally,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is needed to support
    more effective police enforcement for crime prev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안행정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