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작위범에서의 동가치성 및 과실부작위범 - 행위지배표지의 불충분성에 대한 의무범이론의 상보성을 중심으로 - (Equivalence in Omission and Negligence by Omission - Dogmatics focusing on the Complementarity of the theory of Pflichtdelikt against the Insufficiency of Tatherrschaft Merkmale -)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3.06
44P 미리보기
부작위범에서의 동가치성 및 과실부작위범 - 행위지배표지의 불충분성에 대한 의무범이론의 상보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앙법학 / 25권 / 2호 / 55 ~ 98페이지
    · 저자명 : 안정빈

    초록

    최근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국가기관의 부작위 형사책임에 관하여 많은 관심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태원 압사 참사 사태와 관련하여, 시민단체는 이태원 참사는 국가 부작위에 의한 살인죄이므로 고위공직자 16명을 직무유기와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혐의로 경찰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이는 공무원에 의한 과실부작위범 사안으로 포섭할 수는 없을 것인가 논구해 보아야 한다. 부작위범 쟁점과 관련한 또 다른 최신 사건으로는 22세 청년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부친을 병원비 부담으로 집에서 홀로 돌보다 생활고와 간병을 감당하지 못해 부친을 의도적으로 방치하여 사망케 한 이른바 ‘간병살인 사건’이 법원에서 유죄를 선고받았다.
    이와 같은 부작위범에 대한 쟁점 사건들이 연일 우리 신문 지면상을 장식한다. 이은해 사건에서도 인천지법 1심 판결에서 부작위 살인죄가 적용되어 무기징역이 선고되었고 서울고법 2심 판결에서는 항소기각을 하였다. 현재 피고인은 상고한 상태이다.
    또 다른 부작위 사례로서, 가령 포털사이트의 한 동호회 카페에서 명예훼손적 게시글이 버젓이 수십 일 동안 게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털사이트 관리자 및 동호회 카페지기 둘 다 삭제를 하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았다면 둘 다 부작위범으로 의율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포털사이트 사례의 경우 누가 정범이고 누가 방조범이 되겠는가? 포털사이트 관리자 및 카페지기 모두의 부작위가 있었다면 이는 부작위 상호 간의 쟁점이 된다.

    영어초록

    Criminal law is a powerful system with sharp tools that can deeply hurt people and even destroy people, so through criminal law, it formalizes social control exercised by criminal law, ensuring that the damage caused by criminal law is minimized.
    In the social role, concreteization is bound to depend on the situation. In light of the view that the omission itself, that is, the omission of the guarantor, should not be
    punished, it is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omission of the non-guarantee is
    punished through Article 33. It is desirable to arbitrarily reduce the omission of the guarantor, but it would not be desirable to punish the omission of the non-guarantee through Article 33 and not be able to arbitrarily reduce the omission. It is the same that
    this is not solved even if it is viewed as a concept of a identity offender. It is also not clearly defined how far one should be regarded as a status.
    In the form of “no action-no action”, it is not considered a problem of no action because the no action is to participate in the form of no action, and this part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the concept of an accomplice and an identification offender
    under Article 33 of the Criminal Act. Even so, Article 33 itself cannot be applied
    to non-identical people. This is because Article 33 will apply only to those who are identified. I think Article 33 will apply only if all participants have status. This is because asking for responsibility even though you are a non-identity person without status would be as if you were asking a person who did not have an obligation in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to be guilty of breach of trust.
    Even in the issue of establishing a joint principal offender of omission, each principal offender must have a guarantor status and an obligation to act to establish a joint principal offender of omission. If any one of them has no obligation to act, a joint principal offender of omission cannot be established even under Article 33 for a person
    who has no obligation to act.
    In the Boramae Hospital case, the patient’s wife was judged as a murderer by
    omission. The doctor’s doing can be regarded as an act or an omission. Suppose a
    father stays still when his child is drowning. If the child is drowning and the father
    is just looking at him, it is of course a crime by omission. Mentally encouraging and
    assisting through acts of action, or handing over murder tools or giving tips, then these can also be regarded as crime by omission. If there is a person who applauds, helps,
    and instructs them to kill him from behi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erson who
    does this is a criminal by act, but there is room for discussion whether this committing
    criminal is a principal offender or an accomplice. It should be distinguished whether the criminal is a principal offender or the accompl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