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10년의 회고와 전망 : 학회지 게재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CAS) : Content Analysis on the Articles Appeared in the Journal of CAS, 1998-2007)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08.03
29P 미리보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10년의 회고와 전망 : 학회지 게재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5권 / 1호 / 387 ~ 415페이지
    · 저자명 : 홍성걸

    초록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의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그 동안 공식학회지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성과와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우리 학회지는 1997년 가을, 창간호를 시작으로 초기에는 연 2회 발행되다가 2005년 12월, 학술진흥재단의 등재후보지로 선정되면서 2006년부터 연 4회로 발간횟수를 늘리게 되었고, 2년여가 흐른 오늘날에는 사이버공간과 소통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학술지로 성장하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는 지난 10년간 많은 연구논문을 우리 학계에 내 놓았다. 분석결과, 학회의 구성을 반영하여 언론분야의 연구가 절반을 차지하였고, 다양한 전공분야와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분석기법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학회보를 중심으로 살펴 본 우리 학회의 학술활동은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선 정보혁명의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총체적이고 학제적인 연구와 접근을 목표로 출발했지만 진정한 학제적 연구가 그리 많지 않았다. 전공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학술적 연구(이론정립이나 검증)보다는 현실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의 제시에 치중되었다는 것은 보다 근본적인 사이버 공간에서의 소통문제를 학술적 차원에서 규명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인과관계나 상관관계 등을 규명하는 분석적 연구보다는 기술적 연구의 비중이 많았다는 점, 정치학과 경제경영분야 전공자의 논문 게재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는 점, 그리고 국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 등도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고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균형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받아들여진다. 결론적으로 지나간 10년을 뒤로 하고 또 하나의 10년을 향해 새롭게 출발하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는 학회 본래의 취지였던 학제적 연구를 더욱 활성화시켜야 하고, 사이버공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론적 접근과 분석에 노력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CAS) in Korea. Established in 1997, the CAS is now ten years old. Members of the CAS celebrated its ten year-old birthday in the Fall of 2007, in which numerous artic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CAS and other related academic communities have been presented. By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this paper reviews 153 articles which was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CAS during the past ten years.
    Due to the CAS's membership, the Journal has published a variety of articles from various social science fields such as law, public administration, sociology, 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journalism. Despite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however, the Journal lacks truly interdisciplinary articles. Simple description of facts are certainly important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what happens in reality, but a more serious academic effort in analyzing those facts in order to build up the sophisticated theories which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real setting is also needed. About half of the articles came from the journalism majors, which suggests that scholars in other majors should be more active in publishing their researches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Overall, the CAS has contributed a lot in understanding the roles and nature of the newly created cyberspace and human interactions within it, but need to expand its efforts more toward interdisciplinary and theory-oriented dir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