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미의 사이버안보 입법동향과 시사점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ybersecutiry Legislation Trends and Implications – focused on U.S and Canada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7.02
23P 미리보기
북미의 사이버안보 입법동향과 시사점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77권 / 361 ~ 383페이지
    · 저자명 : 조정은

    초록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의 간극이 좁혀짐에 따라 사이버공간역시 테러의 위협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되었다. 현대사회에서는 대부분의 핵심적인 인프라시스템이 사이버공간에 의존하고 있고, 한 번의 공격으로도 천문학적 액수의 큰 피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을 사이버공격으로부터 방어 및 보호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특히, 해킹 등에 의해서 군사 분야를 비롯한 정부의 중요 정보들이 침해 또는 탈취되는 것을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에 따라 EU, OECD 등 주요 국제기구와 미국, 캐나다 등 여러 나라들이 국가 사이버안보 전략(National Cyber Security Strategy)을 수립하여 사이버안보에 관한 입법을 위해 노력하여 왔다.
    미국은 사이버안보에 관한 정책 및 법제 분야에서 오랫동안 선두주자의 역할을 담당해왔다. 사이버안보가 국가안보와 직결되어 있음을 인식하여 꾸준히 관련 정책을 추진하여 왔으며, 오바마 행정부에 들어와서는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캐나다 정부 역시 사이버안보를 중요한 국가안보 정책의 하나로 보고 있으며, 악의적인 의도를 지닌 개인, 집단 또는 조직이 실제로 캐나다 영토 안으로 발을 들여놓지 않고도 충분히 캐나다를 공격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법안을 비롯하여, 동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자금 지원을 포함하는 적극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의 사이버안보 대응체계와 관련 법제의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사이버테러방지법제의 발전 방향을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rapid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narrowed the gap between real space and cyberspace, making the cyberspace vulnerable from the threat of terrorism. In modern society, it has become necessary to defend and protect such systems from cyber attacks, since most critical infrastructure systems rely on cyberspace and even a single attack can cause significant damage. In particular, it has become a situation that important information of the government, including the military field, is violated or hijacked by hacking, etc. Therefore,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EU, OECD, and many countries, such as the U.S., Canada, etc, have been making efforts towards improving cyber security legislations by establishing national cyber security strategies.
    The United States has been a leader in cyber security policies and related legislations for a long time. Since the U.S. government recognizes that cyber security is directly linked to national security, the relevant policies have been implementing steadily. These regulations have become even more reinforced since the Obama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Canadian government regards cyber security as an important national security policy and believes that individuals, groups or organizations with malicious intent can actually attack Canada without actually being in Canadian territory. As a result, the Canadian government is actively planning and implementing new cyber security strategies, which include new legislation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yber security response systems and the trends of related legisl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draw up implications to suggest a way to develop a Korean anti-cyberterrorism legislation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