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판매가격유지행위 규제의 개선방안 : 행위의 경제적 효과와 규제형태 사이의 균형 문제를 중심으로 (A Suggestion for the Improvement of Regulation for Resale Price Maintenance : Balancing Economic Effect of Behavior and Regulatory Form)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5.05
48P 미리보기
재판매가격유지행위 규제의 개선방안 : 행위의 경제적 효과와 규제형태 사이의 균형 문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22권 / 2호 / 869 ~ 916페이지
    · 저자명 : 나영숙

    초록

    최근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를 규율하고 있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이라 한다) 제29조 제1항에 대한 개정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개정 논의는 당해 행위에 대한 원칙적 금지와 예외적 허용이라는 현행 규정의 형식을 유지한다는 것을 전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과연 이 형식이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제적 효과와 균형을 이루는 것인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미국에서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들에 의하면 재판매가격유지행위는 ‘원칙적으로 반경쟁적인 행위’라고 할 수 없다. 재판매가격유지행위가 친경쟁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흔히 있고, 반경쟁적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행 공정거래법 제29조 제1항의 규제형식이 적절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물론, 우리나라 특유의 시장구조, 기업행태 등에 관한 추가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현행 법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다면 과잉규제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대법원이 2012년 LEXUS 사건에 대한 판결과 BMW 사건에 대한 판결을 통하여 제시한 공정거래법 제19조 제1항의 해석론을 기준으로 보면, 제29조 제1항과 제19조 제1항 간에는 일정한 불균형이 있다. 즉, 반경쟁적 효과가 일어날 것이 명백한 수평적 담합에 대해 제19조 제1항을 적용할 때에는 경쟁당국 또는 원고가 행위 사실 뿐 아니라 엄밀한 시장획정을 전제로 경쟁제한성을 구체적으로 입증하여야 하는데 반해, 친경쟁적 효과가 일어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판매가격유지행위에 대해 제29조 제1항을 적용할 때에는 행위 사실만 입증하여도 원칙적으로 경쟁제한성이 인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정거래법 제29조 제1항의 법 개정을 할 때에는,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제적 효과와 균형을 맞춘 법 형식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규정이 공정거래법의 다른 규정과 균형을 이루는지에 대해 충분한 검토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법제의 형식을 선택함에 있어서 각 규제 형식의 집행비용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 moves for the reform of regulation of minimum resale price maintenance in Article 29(1)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FTA”) attempts to extend the exception clause to be applied to minimum resale price maintenance while keeping the basic regulatory form, which prohibits the concerned behavior in principle with only exceptional allowances. However, whether this form is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effect of the behavior has not been verified.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the U.S., resale price maintenance quite often has procompetitive effects, and anticompetitiveness occurs only in rare circumstances. This suggests that Article 29(1) of MRFTA as is has the potential to overregulate the concerned behavior, although a further look into Korea’s unique market structure, pattern of business behaviors, etc. would be necessary in making such determination.
    Another ground for the change of current regulatory form of Article 29(1) is the Supreme Court of Korea’s decisions in LEXUS and in BMW cases (2012). They imply that establishing illegality against horizontal collusion whose only effect is anticompetitive under Article 19(1) requires that the anticompetitiveness be specifically proved, while under Article 29(1) the anticompetitiveness is presumed. The imbalance of determining illegality in these two provisions is another reason for the reform, since horizontal collusion lacks the potential procompetitive benefits of resale price maintenance.
    Therefore, Article 29(1) needs to be fundamentally restructured reflecting the main economic effects of the behavior and harmonizing it with other provisions of MRFTA, such as Article 19(1), on balance. When examining various regulatory forms, the enforcement costs involving each regulation should also be weig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