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표이사가 이사회 결의 없이 제3자와 거래행위를 한 경우 상대방의 보호범위 (The Scope of Protection Afforded to the Counterparty of the Transactions Made by the Representing Director Without Resolution Adopted by the Board of Directors)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1.06
58P 미리보기
대표이사가 이사회 결의 없이 제3자와 거래행위를 한 경우 상대방의 보호범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56호 / 841 ~ 898페이지
    · 저자명 : 백숙종

    초록

    주식회사의 대표이사가 이사회 결의에 따라 일정한 거래행위를 하도록 되어 있는데도 이사회 결의 없이 거래행위를 한 경우에 거래 상대방인 제3자는 어떠한 범위에서 보호되는지 여부가 이 사건의 쟁점이다.
    이에 관하여 기존의 대법원 판례는, 상법 제393조 제1항에 따라 이사회 결의를 거쳐야 하는 경우(법률상 제한)와 회사의 정관 등 내부 규정에 따라 이사회 결의를 거쳐야 하는 경우(내부적 제한)를 구별하지 않고, “거래 상대방이 이사회 결의 없음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가 아니라면 유효”라고 하여 선의·무과실의 상대방을 보호하여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는 같은 쟁점에 관한 일본 판례와 같이 비진의 의사표시에 관한 민법규정을 유추적용하는 것으로 평가하면서 그 근거가 논리적으로 명확하지 않다는 점, 표현대표이사 등 여타의 상거래 사안에서 경과실 있는 상대방을 보호하는 판례 법리와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점, 법률상 제한과 내부적 제한은 구별되어야 함에도 양자를 같이 취급한다는 점 등의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대법원은 대상판결을 통해, 상법 제393조 제1항에 위반한 법률상 제한 사안과 내부적 제한 사안 모두 상법 제389조 제3항에서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준용하도록 정한 상법 제209조 제2항에 따라 ‘선의의 제3자’를 보호하도록 하되, 중과실 있는 자는 악의와 같이 보아 보호하지 않는다는 법리를 선언하였다. 내부적 제한에 관하여 상법 제209조 제2항에 따라야 한다는 점에는 논리적으로 큰 의문이 없었으나, 상법 제393조 제1항에 위반하여 이사회 결의를 흠결한 경우에도 상법 제209조 제2항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 아니면 내부적 제한과 구별하여 취급해야 하는 것인지에 관하여는 치열하게 다투어졌다. 대상판결 다수의견은, 상법 제393조 제1항에 위반한 법률상 제한 사안과 내부적 제한 사안이 논리적으로 구별됨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상법 제393조 제1항의 해석론이 명확하지 않고 양자를 구별하여 취급할 경우 예상되는 현실적 어려움 등을 이유로 양자를 동일하게 취급하여 상법 제209조 제2항을 적용하도록 하는 견해를 취하였다. 이에 대하여, 상법 제393조 제1항 위반의 법률상 제한에 관하여 상법 제209조 제2항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음을 주된 논거로 하여, 구체적 타당성과 쌍방의 이해관계 조정에 있어 기존의 판례가 더 우월하므로 판례변경의 필요성이 없다는 대법관 4인의 반대의견이 있었다.
    대상판결은, 주식회사 대표이사가 이사회 결의를 거쳐야 함에도 이를 거치지 않고 행위한 경우에 상법 제389조 제3항에 따라 준용되는 제209조 제2항에 따라 ‘선의의 제3자’를 보호하되 중과실 있는 자는 악의로 보도록 하는 새로운 법리를 선언하는 한편, 중과실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그 판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를 열거함으로써 하급심에 대하여 그 판단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표현대표이사 사안, 상법 제398조에 위반한 이사와 회사 사이의 자기거래 사안 등 여타의 상거래 사례에서 중과실 있는 자를 악의자와 같이 보되 경과실 있는 자는 보호해 온 대법원 판례의 흐름에도 부합하는 것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다. 또한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반대의견, 보충의견에서 드러난 것처럼 그 논의과정에서 이사회 권한을 규정한 상법 제393조 제1항의 취지와 그 의미, 주식회사에서 이사회와 대표이사의 관계, 합명회사에 관한 규정을 주식회사에 준용하도록 되어 있는 상법의 규정체계 등 회사법의 기본 원칙에 관하여 풍부한 논의와 다양한 문제의식이 제기되었던바, 향후 이를 단초로 회사법에 관한 발전된 논의가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gist of the subject case pertains to the scope of protection that should be afforded to a counterparty of a transaction, a third party with whom a representing director of a stock company made transactions in violation of a requirement that the representing director of a stock company shall effect any transaction pursuant to a resolution adopted by the board of directors.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s have provided protection for a good faith, non-liable third person counterparty by stating that “transactions shall be valid unless the counterparty knew or could have known that no resolution was adopted by the board of directors”, without distinguishing the cases where a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is required pursuant to Article 393(1) of the Commercial Act (statutory restriction) from the cases where a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regulations such as the company’s articles of incorporation (internal restriction). However, these precedents have largely been subject to criticism that (1) such precedents are similar with a Japanese precedent that applied mutatis mutandis a civil law provision on declaration of untrue intention, but lack rational grounds therefor; (2) they are inconsistent with the legal doctrine of protection of the counterparty who committed ordinary negligence, or culpa levis, in other cases of transactions involving, for example, apparent representative directors; and (3) these precedents treat equally statutory restriction and internal restriction although they should be distinguished.
    In the subject case, the Supreme Court proclaimed a legal doctrine that “a third person acting in good faith” shall be protected according to Article 209(2) of the Commercial Act, which stipulated that both cases in violation of statutory restriction and internal restriction under Article 393(1) of the Commercial Act shall be applied mutatis mutandis to cases concerning a representing director of a stock company under Article 389(3) of the Commercial Act, except that a person with gross negligence is considered as a person acting in bad faith and thus is excluded from protection. While the rationale of the argument that Article 209(2) of the Commercial Act should be adhered to when it comes to internal restriction was not much opposed, the problem of whether the application of Article 209(2) of the Commercial Act was appropriate even in a case where no resolution was adopted by the board of directors in violation of Article 393(1) of the Commercial Act, or whether such case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from the cases involving internal restriction, was fiercely debated. The Majority Opinion in the subject case did not contest that the cases involving statutory restriction and the cases involving internal restriction in violation of Article 393(1) of the Commercial Act were logic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yet it maintained that both cases should be treated equally and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Article 209(2) of the Commercial Act on the grounds that the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393(1) of the Commercial Act remained unclear and that differential treatment of the two is expected to entail many realistic difficulties. In response, four Justices dissented with the Majority Opinion, reasoning that it is inappropriate to apply Article 209(2) of the Commercial Act to statutory restriction in violation of Article 393(1) of the Commercial Act, and, therefore, that there is no need for overturning the precedents, as existing precedent is superior in terms of concrete reasonableness and adjustment of mutual interests.
    The subject case (a) proclaimed a new legal doctrine that, in a case where a representing director of a stock company acted without a resolution adopted by the board of directors, the court ought to protect “a third person in good faith” pursuant to Article 209(2) that applies mutatis mutandis in accordance with Article 389(3) of the Commercial Act and consider a person with gross negligence as acting in bad faith; and (b) specifically defined the meaning of gross negligence and enumerated the elements to consider in determining gross negligence in an effort to provide an instruction for the determination thereof. The subject case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is consistent with the course of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that considered a person with gross negligence as a person acting in bad faith in the cases of transactions involving apparent representative directors and the cases of self-dealing transactions between directors and companies in violation of Article 398 of the Commercial Act, and protected a person with ordinary negligence. Furthermore, as demonstrated in the Majority Opinion, Dissenting Opinion, and Concurring Opinion in the subject case, affluent discussions and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with regard to basic principles of company laws, including: (i) the purport and meaning of Article 393(1) of the Commercial Act that stipulated the powers of the board of directors; (i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representing director in a stock company; (iii) the structure of the Commercial Act provisions where the provision on an unlimited partnership company is applied mutatis mutandis to a stock company. With such discussions and criticisms as a kickoff, more advanced discourse on company laws is expected to follow.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