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IPA를 활용한 경찰교육훈련 개선방안:경찰수사연수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sure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Training System of Investigation Police:The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9.05
28P 미리보기
IPA를 활용한 경찰교육훈련 개선방안:경찰수사연수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 / 16권 / 1호 / 245 ~ 272페이지
    · 저자명 : 최정윤, 주성빈

    초록

    최근 우리 사회는 급변하는 정치·경제·사회적 현상으로 인하여 새로운 치안수요와 변화하는 관계법령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분야별 전문가의 양성이 간절히 요구되고 있다. 이 중에서 수사 분야는 범죄행위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처리해야하므로 경찰수사 전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와 관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수사구조개혁을 통해 경찰이 독자적인 수사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경찰수사의 전문성 강화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이 연구는 경찰수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노력 중, 수사경찰의 교육훈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현행 수사경찰의 교육을 재검토하고, 수사경찰이 인식하는 수사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활용하여 수사경찰의 전문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논의 방법으로 우선, 수사경찰에 대한 이해를 위해 우리나라 수사권 구조와 수사경찰의 실태를 살펴보았고, 수사권과 수사경찰 교육훈련 현황을 통하여 수사경찰의 의의와 교육훈련에 대한 문헌 검토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수사경찰의 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찰수사연수원의 교육과정에 대해 수사경찰이 인식하는 각 프로그램별 중요도-실행도 분석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IPA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 논의와 수사경찰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교육자료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사교육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수사경찰이 인식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도 및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훈련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교육훈련의 실행도를 높여야 할 것이며, 나아가 수사경찰 교육훈련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해 수사경찰 전문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of recent times, due to a phenomenon of our society rapidly changing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new demands for public security and training for professionals who can handle the changing law enforcement in an active manner are being desperately called for. The work of a law enforcement agency’s criminal investigations department is required to solve crimes that cannot be prevented through community policing and other means, and the general seriousness of crimes that find themselves under investigation by CID detectives mean that there is a high expectation of excellence from investigative officers.
    Through the currently debated reformation of the investigative structure, in order for the police to secure independent investigative power, the challenge of emphasis on the specialisation of investigation officers must be solved.
    This study shows the efforts made to reform a system to place emphasis on specialisation by investigative officers, and the measures needed in terms of training an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A review of the currently exist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s for investigative officers was made as well as a discussion on specialisation by examining the levels of understanding that current investigative officers have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investigative training programmes.
    Through an IPA matrix analysis, the results of an inquiry into priorities in each field show that in the professional field of duty one of the notion and legislation programmes, ‘Understanding of Forensic Science’, and one of the practical programm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Digital Evidence’, showed two quadrants with a high score on importance and a poor score on performance. Both have thus been demonstrated to be top priorities in reforming the education programme.
    Based on these results, executives in charge of investigative education must grasp the needs and wants of investigative officers by developing and delivering education and training that reflects these requirements, that heighten performanc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specialisation of investigation offic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치안행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