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까운다 밧따의 스포따론 (The Sphoṭa Theory of Kauṇḍa Bhaṭṭ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1.02
30P 미리보기
까운다 밧따의 스포따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16권 / 3호 / 285 ~ 314페이지
    · 저자명 : 최종찬

    초록

    까운다 밧따의 스포따론은 스포따의 여덟 유형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 문장스포따를 의미를 지닌 불가분의 진정한 스포따로 제시한다. 스포따의 유형은 개별(vyakti), 불가분성(akhaṇḍa), 보편(jāti)의 세 속성과 음소, 단어, 문장의 세 언어단위를 기준으로 분류된다. 스포따의 유형들 중에서 스포따의 본질을 보여주는 것은 문장스포따뿐이며 음소스포따와 단어스포따는 문법적인 가상으로서 스포따에 대한 지식의 수단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견해의 근거는 무엇보다 문장만이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의미를 전달하는 유일한 단위라는 점에 있다.
    까운다 밧따는 스포따의 불가분성 및 보편성과 관련된 여러 학파간의 논박을 제시하고 이를 문법학파의 입장에서 해석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스포따의 핵심 개념에 도달한다. 문장은 불가분의 단일체이다. 문장이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련의 단어들은 문장의 의미를 지니는 속성과 동일시될 수 없다. 또한 일련의 음소들이 단어나 문장과 관련된다는 생각은 단어나 문장이 음소들에 의해 드러나는 데서 비롯된 착각일 뿐이다. 단일체에 대한 개념은 그 단일체의 구성성분으로 여겨지는 것들을 그 내용으로 제시할 수 없는 것이다. 무엇보다 일반인들이 경험하는 단어나 문장에 대한 단일한 인지는 스포따론을 성립시키는 근본적인 논증이 된다.
    스포따와 관련하여 또 다른 철학적인 문제는 그것이 개별적인 속성을 지니는가 아니면 보편적인 속성을 지니는가 하는 것이다. 스포따는 자신이 드러내는 의미와 자신을 드러내는 음 두 요소와 관련된다. 의미는 기본적으로 개별의미와 보편의미로 구별된다. 가령 ‘소’라는 단어는 개별의미 즉, 구체적인 대상을 의미하기도 하고 보편의미 즉, 보편적인 존재를 의미하기도 한다. 보편스포따론자는 단어가 의미기능을 갖는 것은 기본적으로 보편적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의미의 보편 개념은 여러 의미대상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속성에 근거한다. 단어에 대한 인지는 의미뿐만이 아니라 음에 있어서도 여러 발화형태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속성에 근거한다. 우리가 인지하는 단어의 형태는 다양한 발화형태를 포괄하는 하나의 부류이다. 반면에 개별스포따론은 하나의 부류에 묶일 수 있는 상이한 개별단어들을 가정하지 않는다. 개별단어들의 다수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고저 장단 등은 발화된 음의 속성이지 스포따 단어의 속성은 아니다. 개별음소 또는 개별단어는 하나이지만 각 화자에 의해 발화된 음에 들어있는 변이로 인해 다양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보편은 실재적이고 개별은 비실재적인 요소이다. 보편이라는 용어는 궁극적으로 모든 사물의 기저가 되는 브라흐만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gives light on the Sphoṭanirṇaya of Kauṇḍa Bhaṭṭa. Kauṇḍa Bhaṭṭa classifies the sphoṭa into eight different varieties and assumes that only the sentence-sphoṭa as a meaningful indivisible entity is the real sphoṭa. The sphoṭa is classified based on the three concepts of individual(vyakti), universal(jāti), and indivisibility(akhaṇḍa) together with the three verbal units of phoneme, word, and sentence. It is the sentence-sphoṭa alone among eight types of the sphoṭa which represents the essential nature of the sphoṭa-doctrine. The phoneme-sphoṭa and word-sphoṭa are a grammatical fiction which is helpful to realise the ultimate principle. This view is based on the fact that only the sentence is a meaning carrying linguistic unit in the commun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indivisibility and the concept of universal, Kauṇḍa Bhaṭṭa presents views from various schools and tries to explain the key points of the sphoṭa-theory from the viewpoints of the grammarians. A sentence is an indivisible unitary entity. The sentences appear to consist of words, but the sequence of words is not to be identified with the meaning-bearing nature of a sentence. The idea that the sentences are cognized as having the sequence of phonemes and words is only the delusion caused by the fact that sentences are revealed by them. The notion of unitariness cannot present the different objects as its content. Above all, the unitary perception of sentence experienced by common people is considered to be the fundamental argument in establishing the sphoṭa-theory.
    Further, the philosophical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sphoṭa is individual or universal. The sphoṭa is related to two elements: the meaning revealed by it and the sounds revealing it. The meaning is distinguished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al. For example, the word gauḥ ‘cow’ may denote either a concrete object or a universal entity. The jātisphoṭa view maintains that the word has the denotative function due to its ability to denote universal meaning. The universal concept of meaning comes from the common properties residing in the various objects. The perception of the word is based on the common properties residing in its sound form as well as its meaning. The word-form we perceive is the class-word which includes various articulate forms. The vyaktisphoṭa view maintains that there are no different individual words that might be grouped into a single class. It denies the plurality of individual words. The loudness, length, lowness and so on are the properties of the articulate sound but not of the sphoṭa word. The individual phoneme or individual word is one, but it appears various due to the variation in the articulated sound of different individuals. That which is the real is the universal, while the unreal is the individual. The term jāti ultimately refers to the Brahman which is the underlying essentiality of all o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