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모니터링 연구 (A Monitoring of Dietary Education Using Home Dietary Life Booklet ‘Family Dining Tabl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5.06
17P 미리보기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모니터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8권 / 2호 / 153 ~ 169페이지
    · 저자명 : 오현정, 김정원

    초록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 초등학교에 배포해 온, 알림장 형식의 바른 식생활교육 자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밥상’을 활용한 식생활교육의 모니터링을 통해 그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5월에 걸쳐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22개교 28학급의 학생(668명), 학부모(572명), 교사(28명)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학생 및 학부모 대상으로는 수첩 활용 교육 전 설문조사와 4∼5주간의 학급별 재량 교육이 끝난 뒤 학생 및 학부모 대상으로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육 전·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경우, 수첩 활용 교육 후 수첩의 활용도, 교육적 효과, 그리고 개선점 및 보완점을 설문하였다.
    수첩 활용 교육 결과, 초등학생 및 학부모의 바른 식생활 지식 및 행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p<.05), 행태영역보다는 지식영역의 교육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경우, 지식영역에서 저학년보다 중학년, 중학년보다 고학년의 정답률이 높았다. 행태영역은 교육적 변화가 없는 학년군도 나타나, 행태의 변화는 좀 더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은 수첩 제작 및 활용에 대한 다양한 개선점 및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수첩 교육내용의 수준 상 배포대상을 저학년이 아닌, 중학년이나 고학년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저학년을 배포대상으로 유지할 경우, 내용의 적정화와 구성의 단순화 및 난이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 및 학부모의 행태영역 교육효과가 지식영역에 비해 크지 않았는데, 이는 수첩 활용 교육 기간이 약 한 달 정도로 단기적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 학기 또는 한 학년도와 같이 장기적으로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이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다면 식생활 행태영역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가정식생활 수첩‘가족밥상’의 개선점을 보완하고, 수첩 활용 교육에서 학부모의 참여를 높여 보다 적극적인 가정과의 연계교육이 일어난다면, 수첩을 활용한 식생활교육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Ministry for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 home dietary life booklet ‘Family dining table’,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promote good food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monitor the dietary education using the home dietary life booklet ‘Family dining table’ by assessing the educational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providing improvement plans. In this research, elementary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28 classes from 22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unggi-Do were surveyed in April and May of 2014. Parents and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a series of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a 4~5 week discretionary education period, and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were analyzed. Also, a survey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s of the booklet was conducted on teachers after the discretionary education period, and areas for improvements were deduced.
    Overall, the education using the booklet was statistically effective in the category of knowledge as well as behavior and attitude of both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p<.05). For students, those in higher grades had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those in lower grades in the category of knowledge. However, the fact tha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some student groups in behavior and attitude suggested the necessity of longer and continuous education to change them. Teachers suggested various useful ways to improve and utilize the education using the booklet. First, the level of the booklet was difficult for lower grade-students, therefore, the target for the distribution of the booklet should be middle or upper grade-students. Otherwise, simpl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the content of the booklet are necessary to adjust the level to lower graders. In addition, the education showed more effective results in the category of knowledge towards students and parents than in the category of dietary behavior and attitude, most probably due to a short period of education around one month.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result in the category of dietary behavior and attitude, the period of education for using the booklet must be extended.
    The effect of dietary education using the home dietary life booklet ‘Family dining table’ could be improved greatly by chang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booklet and making more parents be involved in their children’s dietar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