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장애인의 비자발적 입원 경험 (The Experience of Mentally Disabled in Involuntary Hospitaliz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4.09
29P 미리보기
정신장애인의 비자발적 입원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25호 / 161 ~ 189페이지
    · 저자명 : 이용표, 장혜경

    초록

    비자발적 입원은 인권침해의 소지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몸과 정신을 돌볼 수 없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필요하다는 온정주의와 그들이 가진 잠재적인 사회적 위협에 방어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타자의 시각으로 정당화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당사자의 시각에서 비자발적 입원 경험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비자발적 입원을 하나의 현상으로 보고 이 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비자발적 입원의 경험이 있는 12명의 정신장애인들과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비자발적 입원이 어떻게 시작하고 끝나는지에 관한 정황, 비자발적 입원이 궁극적으로 연구참여자들에게 가져온 상흔과 변화, 그리고 비자발적 입원의 대안에 관한 연구참여자들의 탐구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주요 함의는 첫째, 비자발적 입원으로 들어서는 정신의료기관은 연구참여자들에게 폐쇄의 영속화를 부여함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고 이러한 인식은 재차 입원에의 저항을 만들어 비자발적 입원의 악순환고리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폐쇄병동의 폐쇄된 관계 속에서 작동하는 통제기제에 의하여 점차 자유의지와 통제력을 타자에게 이양하게 되었으며, 회복을 위해서는 양도한 자유의지와 통제력을 타자로부터 되찾아오는 힘겨운 과정을 겪어야 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이 원하는 정신의료기관은 입원기간이 짧고 인간적인 대접을 해주는 장소였으며, 폐쇄병동이 아닌 또다른 보호장치를 염원하였다.

    영어초록

    A involuntary hospitalization by mandatory guardian based on the 24 Section of Mental Health Law is now confronted with criticisms. Some people consider it induces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due to make it possible to confine mentally disabled to hospital without the judgement of independent third party. A involuntary hospitalization has been justified in paternalistic thinking that it is necessary for people who cannot care their own body and mind and in a perspective of others that it is a required condition for safety to protect from latent social risk from them.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 of involuntary hospitalization in a perspective of mentally disabled, We conside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of mentally disabled as a phenomenon, and try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wholly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We interviewed in depths 12 mentally disabled who experienced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e Results reveals the whole process of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e ultimate scar and change of the hospitalized, and the exploration for the alternatives to prevent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whole effect of the involuntary hospitalization. It makes a vicious circle of involuntary rehospitalizaion due to the scar and change of the hospitalized. The hospitalized thought close ward does not cure mental disability but reproduces it. In this hole process, the hospitalized hand over their free will and a sense of control to the others, and they have to go through the regaining process for the recov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