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케이스(정신간호실습)
- 최초 등록일
- 2018.06.09
- 최종 저작일
- 2018.04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1.Schizophrenic Disorder 정의
Ⅱ. 본론
1. 간호사정
Ⅲ. 결론
1.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현병의 정의
조현병(정신분열증)은 현실에 대한 왜곡된 지각, 비정상적인 정서체험, 사고·동기·행동의 총체적인 손상과 괴리 등을 수반하는 정신장애를 일컫는 말입니다.
용어의 뜻을 분석하면 이해가 쉬운데 조현병을 정신분열이라 부른 것은
정신(즉, 마음)이 분열, 즉, 갈라져 있기 때문입니다.
조현병은 '현악기[絃]의 줄을 조율한다[調]'는 뜻으로 정신적으로 혼란을 겪는
환자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현악기가 조율되지 못했을 때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국내 전체 정신병원 입원환자의 2/3 이상을 조현병 환자가 차지하며 국내 전체 인구 중 0.31∼0.54%의 이환율을 나타내는 정도다.
▶조현병의 증상
조현병을 요약한다면 사고의 장애, 망상·환각, 현실과의 괴리감,
기이한 행동 등의 증상을 보이는 정신질환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망상(delusion)은 명백히 잘못된 믿음인데도 그 믿음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며 그로 인해 비정상적인 사고와 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자신을 특정 유명인 중 한 사람으로 믿고 그에 따라 행동한다든가 정보기관이나 외계인 등이 자신을 계속 감시하면서 괴롭히고 있다는 믿음으로
기이한 행동을 일삼는 것도 여기에 속합니다.
존재하지 않는 물리적 자극이 정말 존재하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 환각(hallucination)도
조현증의 중요한 증상 중의 하나입니다. 환각의 일종인 환청의 경우 ‘너를 죽일 거야’, ‘그 녀석을 때려라.’ 등 기괴하거나 나쁜 행동을 부추기는 내용이 대부분이이기 때문에
정신분열증 환자가 간혹 매우 급작스런 반사회적 행동을 저지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조현증 환자는 대화나 말을 할 때 하나의 주제를 유지하면서 그에 맞는 이야기를 하지 못하며 이 주제 저 주제로 급하게 옮겨 다니기 일쑤입니다. 이러한 양상은 행동에도 그대로 일어나는데 공공장소에서 성적인 행동을 하거나 점잖은 자리에서 어린아이와 같은 말투로 이야기하기도하고 깔깔대며 박장대소하기도 합니다.
참고 자료
조유정 외 (2012).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이광자 외 (2012).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원종순 외 (2012).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김수경 외 (2012). 알기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임희수, 한금선.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13) Vol 43. No.1
장창현 외 (2014). 지역 정신의학회, 대한 신경정신의학회(Riss 학술지)
정신건강 간호학, 현문사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 /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주세진 외 (2016). 정신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국제간호진단협회(NANDA International),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