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을 활용한 챔버형 반도체 제조 설비의 Fan Motor 이상감지 진단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an motor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for chamber typ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3
19P 미리보기
인공지능을 활용한 챔버형 반도체 제조 설비의 Fan Motor 이상감지 진단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능정보연구 / 30권 / 1호 / 159 ~ 177페이지
    · 저자명 : 조희록, 박승범

    초록

    반도체 장치산업은 막대한 투자비가 수반 되므로 생산 설비가 고유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예방보전 활동이 중요하다. 설비보전의 중요성으로 기업에서는 다양한 예방보전 활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아직은 수명에 의한 TBM(Time Base Maintenance) 형태의 예방보전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기술 발전으로 AI 기법을 활용한 고장을 진단하고 사전 조치를 진행하는 CBM(Condition Based Maintenance) 예지보전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챔버형 설비에서 Fan Motor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연구로 현장의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공공 데이터셋을 통해 진동신호를 AI 기법을 이용하여 고장진단 방법을 연구하였다. 첫 번째 선행연구에서 인공지능 딥러닝 기법으로 3가지 모델인 DNN, RNN, CNN로 고장을 예측하였고, 진동 신호 4개를 Feature Engineering을 통해 19개로 확대하여 동일하게 3가지 모델로 고장 예측을 비교 분석하여 모델 알고리즘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아울러 대부분의 AI 연구는 배치 단위의 시계열 데이터를 통한 고장진단 방법론을 연구하고 있다. 반도체 생산 현장은 24시간 가동되는 장비이므로 스트리밍 상태의 실시간 기반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상데이터를 학습하고 이상 데이터가 감지되면, 고장으로 분류가 가능한 오토인코더 기법을 활용하여 성능을 검증하고 고장진단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통상적인 인공지능 기법으로 알고리즘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에서 한 단계 진전되어 Feature Engineering을 통한 성능개선을 진행하였다. 산업 현장에서 실제 적용이 가능한 오토인코더 알고리즘을 접목하여 고장 예측을 시각화하고, 정상상태를 학습하여 Anomaly Score을 예측하고, 이상 데이터가 발생 시 차이를 분석하여 고장 예측이 가능한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정상데이터의 학습데이터로 이상 데이터 예측이 가능하므로 정상학습 데이터의 Anomaly Score 최댓값으로 이상치를 등급화할 수 있다. 설비의 보전상태를 정상가동, 모니터링 상태, 보전상태 등으로 분류가 가능한 예지보전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영어초록

    Since semiconductor device industry requires enormous investment costs, preventive maintenance activities are important to ensure that production equipment maintains its unique performance. Due to the importance of equipment maintenance, various preventive maintenance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by manufactures, and they still rely on preventive maintenance in the form of TBM (Time Base Maintenance) based on lifespan.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it is developing into a form of predictive maintenance that uses AI techniques to diagnose failures and take proactive measures.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to diagnose fan motor failure in semiconductor chamber-type equipment, and a failure diagnosis method was studied using vibration signals using AI techniques through similar data sets. First, in previous research, failure was predicted using three models (DNN, RNN, CN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techniques, and the four vibration signals were expanded to 19 through feature engineering to compare failure predictions using the same three models. Through analysi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algorithm was improved. In addition, most AI research studies failure diagnosis methodologies through batch-level time series data. Since semiconductor production sites are equipment that operates 24 hours a day, normal data is learned using streaming real-time data, and when abnormal data is detected, the autoencoder technique is used to classify it as a failure, to verify performance and diagnose failures. was studi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 step forward from research on improving algorithm performance using typical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and has progressed to improve performance through feature engineering. We visualized failure prediction by incorporating an autoencoder algorithm that can be actually applied in industrial sites, predicted anomaly scores by learning normal stat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when abnormal data occurs to verify that failure prediction is possible. In addition, since abnormal data can be predicted using normal learning data, outliers can be graded by grade based on the maximum Anomaly Score of normal learning data. It can be used to implement a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that can classify the maintenance status of facilities into normal operation, monitoring status, and maintenance sta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능정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