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거대 플랫폼에 대한 반독점과 데이터 독점 규제: 알리바바 사례를 중심으로 (China's Platform Regul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tate Strategy: Focusing on Alibab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1.11
16P 미리보기
중국의 거대 플랫폼에 대한 반독점과 데이터 독점 규제: 알리바바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연구 / 24권 / 4호 / 87 ~ 102페이지
    · 저자명 : 이중희

    초록

    본 논문의 가설적 주장은 다음과 같다. 2020년 후반부터 중국에서 거대 플랫폼에 대한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미국의 바이든 정권에서도 리나 칸 등의 신브랜다이스주의자는 전통적 시각을 부정하고 소비자의 후생이 향상되더라도 민주주의 체제에 위협이 되면 독점으로 인정해야한다는 시각에서 아마존 등의 거대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주장하고 있다. 중국의 상황은 다르다. 중국이 미국의 실리콘밸리모델을 모방해서 그동안 플랫폼의 발전을 방임하거나 지원해왔다. 중국에서는 2020년 11월 이전까지 중국기업에 대한 반독점 조치를 명시적으로 거의 취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거대 플랫폼의 독점이 “중국공산당 영도의 체제” 혹은 시진핑체제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기 시작했다. 더욱이 국가는 독과점 플랫폼의 데이터 권력을 체제위협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때로는 국가가 플랫폼이 가진 데이터에 대한 보안이 국가안보에 중요하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2020년 11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반독점 조치를 취하기도 하고 플랫폼의 독점적 데이터를 공유화하는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 다시 말하면, 시진핑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국가는 과거의 실리콘밸리 모델에서 플랫폼에 대한 규제 모델로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국적 특성의 플랫폼 문제가 작용하기도 한다.
    2020년 11월 이후부터 플랫폼에 대한 고강도 규제 사례는 다양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적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진핑 체제에서 플랫폼 고강도 규제의 목표와 조치를 더 많이 내포하는 사례를 선정하여 연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알리바바, 디디추싱, 메이퇀, 텐센트 등의 플랫폼에 대한 고강도 규제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가운데 고강도 규제의 보다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사례로 알리바바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알리바바를 사례로 택한 이유는 첫째, 플랫폼의 반독점 규제와 데이터 파워에 대한 규제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데이터에 대한 국가안보문제와 관련된 디디추싱 사례, 청소년 게임 사용 제한을 통한 교육정상화와 관련된 텐센트 사례, 플랫폼 노동자 보호와 반독점 규제와 관련된 메이퇀 사례 등과 대조적이다. 둘째, 거대 플랫폼에 대한 최근의 고강도규제를 가장 대표하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알리바바에 대한 과징금 규모가 지금까지 가장 클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국가공유, 국유화 조치 등으로 보아 알리바바는 가장 고강도 규제사례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hypothetical argumen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Regulations on large platforms began in earnest in China in late 2020. The New Brandei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also denies the traditional view. In its view, even if consumer welfare improves, if it poses a threat to the democratic system,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monopoly. It argues for regulations on large platforms such as Amazon. The situation in China is different. China has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the platforms by imitating the US Silicon Valley model. In China, few anti-trust measures were explicitly taken against Chinese companies until the first half of 2020. Then, it began to judge that the monopoly of the huge platform threatened the "system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Moreover, the state has begun to recognize the data power of monopoly platforms as a threat to the system. Sometimes the state has begun to recognize that security of the platforms' data is important to national security. In the meantime, from the second half of 2020, anti-trust measures were taken in earnest and measures were taken to share exclusive data of the platforms. In other words, in order to strengthen the Xi Jinping system, the state has shifted from the past Silicon Valley model to a regulatory model for platforms. In this process, the platform problem of Chinese characteristics may work. Starting in the second half of 2020, there are various cases of high-intensity regulations on platforms. In order to verify these hypothetical arguments,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is study to select and study cases that more imply the goals and measures of high-intensity regulations on platforms under the Xi Jinping system. Currently, high-intensity regulations are underway on platforms such as Alibaba, Didi Chuxing, and Meituan. In this paper, Alibaba is selected as an example that has more diverse meanings of high-intensity regulation and a case study is conducted. The reason why Alibaba was chosen as an example is that first, it contains the most anti-trust regulations on platforms and regulations on data power. This contrasts with Didi Chuxing cases related to data security issues, Tencent cases related to normalization of education through restrictions on youth game use, and Meituan cases related to platform worker protection and antitrust regulations. Second, this is because it i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of recent high-intensity regulations on large platforms. This is because Alibaba is not only the largest penalty so far, but also the strongest regulatory case in view of data sharing and nationalization meas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